씨가름 분류 (품사 분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16:44
본문
Download : 씨가름 분류 (품사 분류) 비교.hwp
될 수 있는 대로 그말의 본래 바탕에 맞으며 그 말의 이해와 실용성에 가장 편리한 가름을 해야 한다. 결국, 씨가름의 분류의 의의는 문법 說明(설명) 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3. 각각의 씨가름 분류체계
3.1. 주시경 문법
3.1.1. 1910 <국어문법>
주시경은 1910년 <국어 문법>에서 `9기`를 설정하였다.
2.1. 씨가름 분류 기준 : 형태, 기능, 뜻
· 형태: 굴곡, 어떤 방식으로 굴곡 하는가?
· 기능: 월에서 차지하는 그 낱말의 지위
· 뜻 : 참고 정도, 그 말이 가지고 있는 공통성
2.2. 씨가름
형태, 기능상의 특질들에 의한 분류기준으로 나누어진 각 부류.
그 낱말이 보인 공통성을 보이는 것 보기> `사람`과 형태, 기능적 특질이 같은 말들 - `임자씨`
2.3. 씨가름 분류의 의의
사람의 말을 연구하는 편의상 하는 것으로 일정 불변하는 일반적 표준이 있는 것이 아닌것이다 . 다만 그 나라 말의 바탕의 다름을 따라 저절로 틀림 생기는 것이다.
2. 씨가름 분류 기준과 뜻, 분류의 의의
씨가름을 분류하기 이전에 씨가름의 분류기준과 뜻, 분류하는 의의를 밝혀 두고자 한다. 씨가름을 분류하는 것은 각자의 주관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분류체계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주시경 문법, 최현배의 우리말본, 허웅의 국어학, 고등학교 문법, 북한 문법의 각각의 씨가름 분류체계를 알아보도록 한다.
Download : 씨가름 분류 (품사 분류) 비교.hwp( 16 )
순서
씨가름 분류에 대해 주시경 문법, 최현배의 우리말본, 허웅의 국어학, 고등학교 문법, 북한 문법의 각각의 씨가름 분류체계를 알아봤습니다. 구체적으로 들어 보이면 아래…(생략(省略))
설명
품사분류비교
씨가름 분류에 대해 주시경 문법, 최현배의 우리말본, 허웅의 국어학, 고등학교 문법, 북한 문법의 각각의 씨가름 분류체계를 알아봤습니다.
국어문법을 연구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씨가름을 분류하는 것이다.
보는 바와 같이 `기능`을 중심으로 하고 다음에 `뜻`을 고려하여 씨가름을 하였다.씨가름 분류 (품사 분류) 비교
,인문사회,레포트
1. 들어가기
2. 씨가름분류기준과 뜻, 분류의 의의
3. 각각의 씨가름분류 체계
3.1. 주시경문법
3.2. 김두봉 문법
3.3. 최현배의 우리말본
3.4. 허웅의 국어학
3.5. 고등학교 문법
3.6. 북한의 문법
4. 우리말본과 국어학 체계의 비교·대조
4.1. 임자씨(셈씨)
4.2. 이음씨
4.3. ‘있다, 없다, 계시다’의 문제
4.4. 토씨의 작은 갈래
4.5. 토씨 ‘-의’
4.6. 토씨 ‘-마는, -시피’
5. 마치면서
우리가 흔히 말 중에 `숲을 볼 것인가 나무를 볼 것인가`하는 말이 있다 이것은 어떤 일을 하거나 연구함에 있어 관점을 결정하는 것으로 앞으로의 방향에 큰 影響(영향)을 미친다. `기`란 낱말을 이르는 말로 썼는데, 이는 여러가지 사물에 따라 이르는 말을 각각 부르는 이름으로 쓴 것이다.품사분류비교 , 씨가름 분류 (품사 분류)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20%EB%B9%84%EA%B5%90_hwp_01.gif)
%20%EB%B9%84%EA%B5%90_hwp_02.gif)
%20%EB%B9%84%EA%B5%90_hwp_03.gif)
%20%EB%B9%84%EA%B5%90_hwp_04.gif)
%20%EB%B9%84%EA%B5%90_hwp_05.gif)
%20%EB%B9%84%EA%B5%90_hwp_06.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