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efficacy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23:28
본문
Download : 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hwp
국경통과지점으로는 한국과 북한의 국경지점, 북한의 국경지점, 북한의 남양에서 china(중국) 의 도문으로 이어지는 지점, china(중국) 의 만주리역에서 러시아의 자바이칼스크로 이어지는 지점, 러시아의 모스크바에서 유럽으로 연결되는 국경역 등 4개 지점이 있다
나. TKR-TMGR-TSR 노선
이 노선은 한국의 부산~서울~문산을 거쳐 북한의 개성~평양~신의주역까지의 TKR노선과 TCR의 단동~베이징을 거쳐 TMGR…(생략(省略))
Download : 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hwp( 58 )
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efficacy 연구
다.
부산에서 남양까지의 노선연장은 1,354Km, 도문에서 모스크바까지의 노선 연장은 7,721Km, 모스크바에서 유럽의 주요도시까지의 평균(average)거리는 2,533Km이므로 총 연장은 11,608Km에 이른다.
설명
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연구한 자료입니다. TKR , 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TKR과 TSR의 연결이 국내 물류 산업에 미치는 파급efficacy를 연구한 자료(data)입니다.
TKR
레포트/자연과학
순서
,자연과학,레포트






가. TKR-TMR-TSR 노선
이 노선은 한국부산~서울~신탄리를 거쳐 북한의 평강~청진~희령~남양까지의 TKR노선과 china(중국) 만주의 도문~하얼빈~만주리역까지의 TMR노선 및 TSR노선으로 연결하여 철도를 직통운송한다.
이 노선이 경유하는 국가로는 한국, 북한, china(중국) , 러시아 등이므로 국경 통과 절차가 필요하며 표준궤를 사용하는 한국, 북한, china(중국) 지역에서는 궤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나 광궤를 사용한는 러시아 지역에서는 궤간 차이가 발생하므로 환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