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R&D 활성화 위해 국가사업 민간참여 시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4:19
본문
Download : 2003111.jpg
레포트 > 기타





지방 중소기업들은 특히 연구원들의 대학, 수도권 및 대기업 선호에 따라 연구인력 확보가 어려워 ‘지방 중소기업 연구원에 대한 세제지원’ ‘연구원 사기진작책 제공’ ‘교육정책과 연계한 인력양성 조절’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또 R&D와 관련된 각종 ‘세제 지원 확대’(41.0%)와 ‘병역특례 등 고급연구인력지원 확대’(38.0%)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업 R&D 활성화 위해 국가사업 민간참여 시급
순서
기업 R&D 활성화 위해 국가사업 민간참여 시급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회장 허영섭)가 452개 민간기업연구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2003년도 3분기 연구개발동향조사’에서 기업 R&D 활성활를 위해 government 가 우선 지원해야 할 분야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442개) 중 가장 많은 41.2%(복수응답)가 이렇게 지적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벤처기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 확대(49.7%)에 우선 순위를 둔 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세제지원확대(48.9%, 41.6%)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했다.
다.’
기업 R&D 활성화 위해 국가사업 민간참여 시급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
기업 R&D 활성화 위해 국가사업 민간참여 시급
설명
한편 이번 조사 결과, 3분기 민간기업연구소 연구개발투자는 당초 계획에 비해 0.4%포인트 감소한 25.9%만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Download : 2003111.jpg( 28 )
‘그래도 어려울 땐 government 가 먼저 나서야 한다. 그러나 대기업은 3분기 계획한 투자를 모두 집행한 반면 중소·벤처기업은 각각 계획 대비 0.6%포인트와 0.3%포인트 감축, 집행해 대조를 보였다.
경기침체가 계속되고 경기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계속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은 전체 R&D 활성화를 위해선 국가 R&D사업에 민간기업 참여를 늘리는 것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지목했다. 지역별로는 연구소가 가장 많은 서울지역은 국가R&D 확대를 우선 꼽았으나 지방은 지방기업 우대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