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바보의 세상 들여다 보기 ㅡ 이외수의 `소망상자 바보바보`서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5:51
본문
Download : 이외수의_소망상자_『바보바보』는_수필.hwp
그래서 공자와 이외수가 똑같이 지적하고 있는, ‘누군가를 정확히 볼 수 있는 안목’은 본질에 대한 성찰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어디선가 많이 보던 문구와 닮았다. 에이뿔 자료
3) 인간 보기·빈손 보기
1. 머리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교양] 바보의 세상 들여다 보기 ㅡ 이외수의 `소망상자 바보바보`서평
이외수, 소망상자, 바보바보
3. 내용 보기
이외수는 이 장을 스타트함에 앞서 이렇게 말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의 아집, 독선, 위선, 부조화 등이 오늘날의 가장 큰 문제라고 여기기에 저 말을 문두에 내세운 것은 아닐까?
그 대상이 자기 자신이든, 타인이든 대상의 본질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성찰의 태도가 필요하다. “내가 누군가를 아름답다고 말하거나 추하다고 말하기 전에 내가 누군가를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지고 있는가부터 깊이 숙고해 보겠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에이뿔 資料
2) 동물 보기-식물 보기
3) 인간 보기-빈손 보기
1) 하늘 보기
순서
이외수의 `소망상자 바보바보`서평입니다.
2. 구성 보기
Download : 이외수의_소망상자_『바보바보』는_수필.hwp( 83 )
이외수의 `소망상자 바보바보`서평입니다. ‘남들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바로『論語』에 나오는 구절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들 중에서 독서를 즐기는 생명체는 오로지 인간뿐이다.’” 이외수는 인간 보기·빈손 보기를 스타트하면서 왜 이런 말을 했을까? 이 두 장은 사람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이 세상에 대해 중점으로 쓴 부분이다. 그래서인지 이외수는 장의 스타트을 독서의 중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독서를 게을리 하는 소치는 인간이기를 게을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