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규정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09:57
본문
Download : 한글맞춤법 규정 요약.hwp
한글맞춤법의 역사를 살펴보고, 한글 맞춤법 규정을 요약하고, 한글맞춤법의 규정목적과 자신의 견해를 기술했습니다. 조선어학회에서 공포한 한글맞춤법통일안은 지지를 얻어 8·15광복 이후에도 그대로 사용되었는데, 독립정부가 수립된 후 국가는 이를 채택하여 고시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약간의 보충만 하였다.)
제 2 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이러한 외래어의 표기법은 따로 `외래어 표기법`을 정한다는 것이다.
(표준어를 맞춤법 규定義(정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고 표준어로 인정하여 선택한 말은, 그 발음대로 충실히 적어야 하며, 표준어이고 또 발음대로 기록한 철자라도 문법에 맞지 않고 어그러져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다.)
제 3 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이는 의미적 단위의 경계를 표시하여 글자 사용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한 조항이다. 또한 한글맞춤법통일안은 공포 이후 수십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언어도 많이 alteration(변화) 하여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그대로 쓸 수 없게 되었다.
(외래어는 외국어가 우리말에 들어와서 `국어화`한 것인데, 국어화라는 것은 외국어가 우리말의 음운, 문법, 의미적 체계에 동화되는 것을 말한다. 총론 제3항에 띄어쓰기 규정을 두어 처음으로 띄어쓰기 시대를 열었다.
◈ 한글 맞춤법 규정
《제 1장》 총 칙
제 1 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순서
◈ 한글 맞춤법의 역사(歷史)
◈ 한글 맞춤법 규정
《제 1장》 총 칙
《제 2장》자 모
《제 3 장》 소리에 관한 것
《제 4 장》 형태에 관한 것
《제 5 장》 띄어쓰기
《제 6 장》 그 밖의 것
《부록》
◈ 한글맞춤법의 규정목적과 자신의 견해
한편 주시경의 선구적 국어 연구에 influence을 받아 조직된 조선어연구회가 31년 이름을 조선어학회로 바꾸고 주된 사업으로 맞춤법통일안의 제정에 착수, 33년 11월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하였는데 받침에 ‘ㅋ, ㅎ, , ㅭ, ㅆ’을 더 쓰게 한 것을 비롯하여 언문철자법보다 더 철저하게 기본형과 어원을 살려 표기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정부는 70년부터 본격적인 한글맞춤법 검토에 들어가 약 17년에 걸친 작업 끝에 33년의 안 가운데 불필요한 규정을 삭제하고 미비한 규정은 보완하며 현실에 뒤떨어진 규정은 일부 바꿔, 88년 1월 19일 한글맞춤법을 고시,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89년 3월부터 시행하였다.…(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한글맞춤법 규정 요약.hwp( 68 )
다.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 한글맞춤법 규정 요약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한글맞춤법 규정 요약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한글맞춤법의 history(역사) 를 살펴보고, 한글 맞춤법 규정을 요약하고, 한글맞춤법의 규정목적과 자신의 견해를 기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