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文化(문화)의 변혁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00:04
본문
Download : ‘처용’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문화의 변혁성.hwp
그것은 인간적 사랑이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병귀신의 미인 사랑은 곧 사람을 병들게 하는 일이자 때로는 생명을 앗아가는 일이다. 그리고 병귀신이 미인과 더불어 몰래 잠자리를 같이 하였다고 하여 이를 인간적인 간통으로 봐서는 곤란하다.
Download : ‘처용’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문화의 변혁성.hwp( 94 )
순서
굿판의 담론에 따라 다음 대목을 읽으면 앞의 대목과 마찬가지로 풀리지 않던 의문도 쉽게 풀린다. 처용의 아내가 매우 아름다워서 역신이 흠모하여 밤중에 몰래 찾아가 잠자리를 같이 하였다는 대목도 굿의 세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렇다면 처용의 아내는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잠자리이므로 역신에 저항을 해야 마땅하다. 처용의 아내가 매우 아름다워서 역신이 흠모하여 ...
굿판의 담론에 따라 다음 대목을 읽으면 앞의 대목과 마찬가지로 풀리지 않던 의문도 쉽게 풀린다. 병을 들게 하는 귀신이 미인을 사랑하는 것은 사람들이 미인을 탐하는 것과 다르다. 그런데 아내의 저항은커녕 놀라는 대목도 없다. 그래서 옛날 어른들은 귀여운 아기들을 봐도 함부로 ‘잘 …(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처용의 아내가 매우 아름다워서 역신이 흠모하여 ... , ‘처용’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문화의 변혁성인문사회레포트 ,
‘처용’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文化(문화)의 변혁성
굿판의 담론에 따라 다음 대목을 읽으면 앞의 대목과 마찬가지로 풀리지 않던 의문도 쉽게 풀린다. 그러나 처용 아내는 아무런 reaction response이 없다. 아내가 비록 병귀신을 사랑했다고 하더라도 남편인 처용에게 현장이 들킨 상황에는 적어도 병귀신에게 저항하는 척이라도 하거나, 아니면 남편을 피하여 달아나거나 부끄러움을 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