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4:35
본문
Download : 헌법_2081967.hwp
헌법연습 , 헌법법학행정레포트 ,
헌법연습
헌법
Ⅰ. instance(사례).............................................1
Ⅱ. 관련판례.........................................1
1. 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0두6909 판결 【자동차운전면허취소처분취소】-(아파트 단지 내의 통행로가 구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 소定義(정의) `도로`에 해당한다고 본 instance(사례))
1) 사건의 개요............................................................1
2) 원심의 판단............................................................1
3) 상고이유...............................................................2
4) 대법원의 판단..........................................................2
2. 대법원 2005. 1. 14. 선고 2004도6779 판결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아파트단 지 내 건물과 건물 사이의 `ᄃ`자 형으로 구획된 주차구역 내의 통로부분을 도로교통 법 제2조 제1호에 정한 일반교통에 사용되는 도로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한 instance(사례))
1) 사건의 개요............................................................3
2) 원심의 판단............................................................3
3) 대법원의 판단..........................................................4
3. 최근 판례.................................................................4
Ⅲ. 문제의 논점......................................5
1. 아파트부설주차장 주차구획선 밖의 통로부분이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에 정한 도로 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1) 도로에 해당한다. 피해자의 신고로 출동한 경찰관은 술에 취해 아파트 단지를 운전한 혐의로 음주측정(測定) 을 하였으며, 정모(48)씨는 아파트 단지 안이기는 하지만 도로에서 음주 운전을 했다는 이유로 운전면허가 취소되었다. 정모(48)씨는 일반도로에서 살고 있는 아파트 단지 안으로 차를 몰고 들어왔으나, 아파트 단지 안 도로에서 운전을 하다 차량 충동사고를 냈다.
정모(48)씨는 “자신이 운전한 곳은 아파트 단지 내 건물과 건물 사이 공간으로 아파트 단지 안 도로로서 불특정 다수가 통행로로 이용하는 곳이 아니므로 면허취소처분은 부당하다”며, 운전면허취소처분취소청구소송을 제기하고자 한다.................................................5
2. 운전면허취소처분의 적법성.................................................6
3. 경찰권 발동의 한계........................................................6
1) 법규상의 한계..........................................................6
2) 재량한계...............................................................6
(1) 경찰소극의 원칙......................................................6
(2) 경찰공공의 원칙......................................................6
① 사생활불가침의 원칙.................................................6
② 사주소불가침의 원칙.................................................7
③ 민사관계불가침의 원칙...............................................7
④ 사경제불가침의 원칙.................................................7
(3) 경찰비례의 원칙......................................................7
(4) 경찰평등의 원칙......................................................7
(5) 경찰책임의 원칙......................................................8
① 의의................................................................8
② 종류................................................................8
③ 예외................................................................8
4. 사생활 보호와 자유 침해여부...............................................8
Ⅳ. 판단(conclusion ).......................................9
◈ 서지사항..........................................11
Ⅰ. instance(사례)
정모(48)씨는 학창시절의 동기생들 모임에서 술을 몇 잔하고서는 음주운전이 아닐 것으로 생각되어 회식 장소에서 자신의 승용차를 별탈없이 운전했다.설명
헌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2) 원심의 판단
원고가 음주운전을 한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헌법_2081967.hwp( 11 )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헌법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5
2) 도로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
정모(48)씨의 주장은 타당한가? 아니면 운전면허취소처분이 적법한가?
Ⅱ. 관련판례
1. 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0두6909 판결 【자동차운전면허취소처분취소】-(아파트 단지 내의 통행로가 구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 소定義(정의) `도로`에 해당한다고 본 instance(사례))
1) 사건의 개요
원고는 모범택시를 운전하는 자로서 1999. 2. 15.경 택시영업을 마치고 자신이 살고 있는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세원한아름아파트로 귀가하던 중 동료기사인 소외 유태희를 만나 위 택시를 위 아파트 상가 뒤편 도로에 주차시킨 다음 부근 슈퍼마켓에서 술을 사다가 그 앞 인도와 위 택시에서 마신 후 다음 날 01:30경 위 택시를 운전하여 위 아파트 102동 앞 주차장 사이의 통행로로 진입하던 중 핸들을 과대 조작한 잘못으로 약 20㎝의 턱이 있는 인도를 넘어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되어 있던 충북 1부1529호 승용차의 좌측 뒤 휀다 부분을 위 택시의 우측 앞 범퍼 부분으로 들이받는 사고를 일으켰다가 목격자의 신고로 위 사고가 적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