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미디어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01:34본문
Download : 미디어교육.hwp
미디어교육에관한고찰
미디어교육에 대한 글입니다.미디어교육에관한고찰 , 미디어교육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미디어교육
“한국인의 삶이 배어있는 국어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정보화 사회에서 정확하고 효과(效果)적으로 국어 생활을 영위하고 未來 지향적인 민족의식과 건전한 국민정서를 함양하며, 국어 발전과 구어문화창달에 이바지 하려는 뜻을 세우기 위한 교과”
7차 교육과定義(정의) 교과목표(goal)에서 의사소통과 언어 현상의 범위를 확장하여 해석하여 맥락과 목적과 대상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국어사용을 강조하여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의 가능역은 넓게 펼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방법 항목에도 교사가 미디어 텍스트를 수업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음이 명시되어 있다 또한 비교적 학급별로 고르게 매체 언어를 원용하고 교육 내용이 매체 텍스트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매체 텍스트로 표현하는 활동도 포함되어 있으며, 관련 매체가 컴퓨터(Internet 포함), 텔레비전, 영화, 라디오, 신문, 잡지 연극으로 문자매체, 영상 매체, 컴퓨터등 다양한 매체가 모두 매체의 범주로 포함된점은 바람직하다 할 수있다
▶ 7차 교육과정에서의 한계
· 제 7 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1-6 학년의 내용 항목은 201개인데 비하여 매체언어와 관 련된 내용은 13개 항목으로 전체 항목의 6.5%로 그 비율이 적으며 미디어 교육을 대 상으로 바라보기 보다 수단을 바라보았다. 이는 읽기 영역을 인쇄 문자에 한정 하였기 때문이 아닌 가 싶다.
컴퓨터로 글쓰기와 같은 매체 경험 반영은 적극적으로 미디어를 수용하여 定義(정의) 이 확장된 문학 교육과정은 아니며 논의를 더 깊고 보완하는 작업이 남아있다 나아가서 정보의 홍수 속에서 Internet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학생들이 접하는 뉴스, 기사, 드라마, 유머, 만화영화, …(省略)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다. 또한 많은 부분이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장면이 수준별 교육과정 중 심화과정에 치우쳐 있다
· 듣기·말하기, 쓰기 영역과 읽기(보기)
교육과정상에서는 듣기·말하기 영역과 쓰기 영역에서 만다루어져 있을 뿐 읽기 영역 에서는 다루어져 있지 않다.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미디어교육.hwp( 50 )
미디어교육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