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예절 -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예절[차 예절, 전통예절, 생활예절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5:12
본문
Download : 전통 예절 -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예.hwp
▨ 간단한 예의 표시(읍례법, 揖禮法)
∞ 상읍례(上揖禮) : 자기가 읍례를 했을 때 답례를 하지 않는 높은 어른에게나 의식행사에서 한다.





전통 예절,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예절,차 예절, 전통예절, 생활예절
설명
▨몸가짐을 바르게
▨ 간단한 예의 표시(읍례법, 揖禮法) - 장소나 기타 사정으로 절을 해야 할 대상에게 절을 할 수 없을 때 간단하게 공경을 나타내는 동작이다.
Download : 전통 예절 -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예.hwp( 46 )
∞ 하읍례(下揖禮) : 어른이 아랫사람의 읍례에 답례할 때 한다.
뜻 풀이 : 사람이 밖에 나갔을 때에는 행동을 예의 바르게 하고 몸가짐이
해설 : 문밖에 나설 때에는 큰 손님을 대하는 것 같이하고 방으로 들 때
점잖고 무게 있게 하여 마치 귀한 손님을 대하듯이 하여야 하며 또 방에 들어갈 때에는 아무리 혼자 있더라도 옆에 사람이 있는 것 같이 행동을 삼가고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일러주고 있따
전통 예절 -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예절[차 예절, 전통예절, 생활예절등]
∞ 중읍례(中揖禮) : 자기가 읍례를 했을 때 답례를 해야 하는 어른에게나 같은 또래끼리 한다. 요사이 경례가 읍례를 대신하지만 의식행사에서는 읍례를 해야 한다. 따라서 어른을 밖에서 뵙고 읍례를 했더라도 절을 할 수 있는 장소에 들어와서는 절을 해야 한다.
순서
읍례를 해야 한다. 요사이 경례가 읍례를 대신하지만 의식행사에서는
는 사람이 있는 것 같이 해야 한다.
- 장소나 기타 사정으로 절을 해야 할 대상에게 절을 할 수 없을 때 간단하게 공경을 나타내는 동작이다.
『 出門如見大賓하고 入室如有人이니라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뵙고 읍례를 했더라도 절을 할 수 있는 장소에 들어와서는 절을 해야 한다. 따라서 어른을 밖에서
- 명심보감 준례편 4장 -
▨ 읍례의 종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