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고전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5:57
본문
Download : 동서양고전의이해, 202012-110.hwp
2. 본문 및 원문의 내용 정리(整理)





모함을 받자, 초(楚)나라 춘신군(春信君)의 도움으로 난릉(蘭陵)지역에서 도지사 격인 영(令)이 되었다. 한(韓)나라 이후 선제(宣帝)의 이름인 순(詢)을 피해 <휘(諱)>성을 고쳐 손경(孫卿)이라고 고쳐 불렀다. 그 시대 사람들은 존경의 의미로 성 뒤에 ‘경(卿)’이라는 글자를 붙여 순경(筍卿) 이라 불렀다. 순자는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조(趙)나라 출신 사상가이며, 교육자이다. 본명은 순황(荀況)이며 순경(荀卿)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동서양고전의 이해
1. 지은이 introduction
순서
순자는 제(濟산둥성)나라에서 오랜 기간 제자백가(諸子百家) 들과 학문을 연구 하였다. 그러다 춘신군의 죽음으로 직책에서 물러나 학문과 저술 활동을 하다가 난릉 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제 17편에서는 순자의 자연에 관한 견해를 볼 수 있는데, 순자는 하늘을 감정도 의지도 없는 자연물로 표현하였다. 기원전 313년 태어나 기원전 238년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순자>에는 몇 개의 특징이 있는데, 공자의 언행록인 논어(論語)와 맹자의 사상이 담겨진 <맹자> 가 각 편의 가장 첫머리 글자를 따 편명을 붙인 것과는 다르게 <순자>는 몇 개를 제외하고 대부분 그 편이 다루고 있는 내용을 함축한 말을 題目으로 사용 하였다. 제 20편에서는 순자의 음악에 대한 사회적 기능에 대한 견해도 드러나 있다아 마지막 32편 요문(堯問)에는 요(堯)임금과 순(舜)임금의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이 담겨 있다아 특히 <순자>의 마지막 편명인 만큼, 끝 부분에는 순자의 제자들이 순자를 공자(孔子)에 빗대며 칭송하였다.
저의 리포트로 韓國放送通信大學校학우님들의 많은 도움을 드렸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방송통신대 중어중문학과 3학년 재학중에 작성한 과제(problem)입니다
다.지금의 대학총장 에 해당하는 좨주에 자리를 세 번이나 하였다. 순자는 어려서부터 학문과 재주가 뛰어났다. 반 면 사람에게는 마음이 있는 존재로써, 하늘과 사람은 구분 <천인지분(天人之分)>이 되어야 함을 이야기 했다. 이 책은 322편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었으나, 한(韓)나라 때 유향(劉向)이 교정하여 32편으로 정리(整理) 한 후 손경신서(孫卿新書)라고 불리어 졌다. 그러나 순자는 제나라 사람의
설명
정말 열심히 해서 좋은 학점을 받았습니다
방송통신대 중어중문학과 3학년 재학중에 작성한 과제입니다 정말 열심히 해서 좋은 학점을 받았습니다 저의 레포트로 방통대학우님들의 많은 도움을 드렸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Download : 동서양고전의이해, 202012-110.hwp( 16 )
순자,순자생애
요약 : 제6장 순자 『순자』
살라맛
<순자>의 32편의 편명에는 학문의 중요함과, 자기 자신을 항상 돌아보며, 임금이 백성을 잘 다스려야 하는 내용으로 유명한 군주민수(君舟民水)라는 구절이 여기서 나온다.
순자는 전국 시대 말기 현실을 혼란으로 파악하고 그 것의 원인(原因)과 해결책을 찾아 <순자>라는 책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