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어증 환자의 처리 양상을 바탕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08:42
본문
Download : 실어증 환자의 종류와 증상에 따른 분석.hwp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유형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사-피동의 처리양상을 대조한 결과, 첫째 사-피동은 서로 다른 통사, 의미상의 처리 양상을 보이고 있고, 둘째 파생접사가 결합된 형태로 어휘부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 사-피동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표현성 실어증 환자와 전반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해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사-피동 생성에 별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
:실어증 환자의 처리 양상을 바탕으로
레포트 > 기타
***Department of Psychology, Korea University
순서
in Korea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다. 표현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피동-비변형>에서 오류를 많이 보였다.
**Donghee Kim(rmkdh@chollian.net), ***Kichun Nam(kichun@mail.korea.ac.kr)
실어증 환자의 처리 양상을 바탕으로
[] 실어증 환자의 처리 양상을 바탕으로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The Processing of Causative and Passive Verbs
설명
한국어의 사-피동문 처리에 관한 연구*
요약





한국어의 사․피동문 처리에 관한 연구*
*Youngsun Moon(sunny723@hanmail.net),
Download : 실어증 환자의 종류와 증상에 따른 분석.hwp( 39 )
실어증 환자의 처리 양상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사․피동문 처리에 관한 연구*
실어증 환자의 처리 양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사-피동문을 실어증 환자가 처리하는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의 사-피동은 영어와 달리 통사상의 문제가 아니라는 conclusion(결론)을 내릴 수 있다아 즉 이미 사-피동 접사에 의해 파생된 단어가 어휘부에 저장되어 있고, 각 단어의 논항 정보에 따라 문장이 생성되는 것이다. 實驗에 참여한 환자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 이해성 실어증 환자, 표현성 실어증 환자, 전반성 실어증 환자로 구성되어 있다아 본 實驗에서는 단어 채워 넣기 과제課題(word completion task)를 사용하였다. 이는 이해성 실어증 환자가 개별 어휘의 논항 정보에 손실을 적게 입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한국어의 사-피동문은 용언에 파생접사가 붙어 이루어지는 경우와 ‘-게 하다’나 ‘-어 지다’와 같이 구문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아 본 연구에서는 이 중 파생접사가 붙은 사-피동문을 대상으로 하여, 실어증 환자에게 實驗을 하였다. 표현성 실어증 환자가 피동의 비변형에서 지배적인 오류를 보이는 것은 피동의 비변형이 타동사로서 변형인 피동형에 비해 하나의 논항을 더 취하기 때문이다.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피동에서는 처리 오류를 보이는 반면, 사동에는 아무런 문제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