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중앙아시아의 언어체계와 고대 및 중세 인도 아리야어의 歷史적 배경의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23:23
본문
Download : 중앙아시아의 언어체계와 - 고대 및 중세 인도-아리야어의 역사적 배경의 고찰.hwp
이들...
고대 및 중세 인도-아리야어의 歷史적 배경의 고찰 이 재숙1) 1786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중앙아시아의 언어체계와 고대 및 중세 인도 아리야어의 歷史적 배경의 고찰
설명
Download : 중앙아시아의 언어체계와 - 고대 및 중세 인도-아리야어의 역사적 배경의 고찰.hwp( 81 )
인문사회 중앙아시아의 언어체계와 고대 및 중세 인도 아리야어의 역사적 배경의 고찰
순서
고대 및 중세 인도-아리야어의 역사적 배경의 고찰 이 재숙1) 1786년...
다. 19세기에 들어 봅(F. Bopp)과 같은 학자들은 이 언어들의 어휘, 동사의 활용규칙과 어미 變化(변화) 등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친족관계를 증명하였다.
고대 및 중세 인도-아리야어의 history(역사) 적 배경의 고찰 이 재숙1) 𠋊년, 영국의 윌리엄 존스(W. Jones)가 인도 캘커타에서 개최된 왕립 아시아학회(Royal Asiatic Society)에서 산스끄리뜨어가 라틴어, 그리스어 등과 언어상으로 상당히 유사한 현상을 보인다고 발표하면서 이른바 인도-유럽어족에 대한 연구가 스타트되었다. 봅의 발표 이후 산스끄리뜨어, 페르시아어, 그리스어, 라틴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힌디 등이 현재에는 존재하지 않는 어떤 공통조어에서 비롯된 인도-유럽어족으로 분류되고 있다아 인도-유럽어족의 모어 사용자들은 적어도 우랄 산맥의 남쪽 유라시아(Eurasia) 평원 혹은 남러시아에 거주하다가 기원전 5000년경부터 서쪽과 남쪽으로 이동을 스타트하여 기원전 4400-4300년경에는 발칸반도, 기원전 3400-3200년경에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기원전 3000년에서 2800년경에는 이란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아버지’ 는 pit (산스끄리뜨어)-pidara(페르시아어)-pater(독일어)-pater(라틴어)-vater(그리스어)-father(영어)-pit (힌디), ‘형제’는 bhr tra(산스끄리뜨어)-bir dara(페르시아어)-phrater(독일어)-frater(라틴어)-bruder(그리스어)-brother(영어)-bh (힌디), ‘일곱’은 sapta(산스끄리뜨어)-hapta(페르시아어)-hepta(독일어)-septem(라틴어)-sieben(그리스어)-seven(영어)-s ta(힌디) 등으로 봅이 제기한 것처럼 어휘에 나타나는 이들간의 유사성은 이 언어들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