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원 기행 - 공지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4:52
본문
Download : 이가.hwp
청원기를 넘기면 2년 동안 수련 생활을 거쳐야 하고, 다시 ‘유기(有期) 서원’ 3년을 거쳐 마침내 ‘종신 서원’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먼저 청원기 1년 동안 적응할 수 있는가를 實驗해본다.
지은이가 가장 먼저 찾은 곳은 프랑스 파리에서 자동차로 두 시간 거리에 있는 아르정탱 수도원이다. 그러나 거기서 순례자는 뜻밖에 너무도 밝은 표정의(定義) 수녀들을 만난다. 어떻게 평생 창살 안에 갇혀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밝은 표정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여행자는 의문에 잠긴다. 이런 설명(說明)을 들으면 중세의 어둡고 음산한 분위기가 연상된다. 지은이 또한 수도원의 분위기가 그렇게 음산할 것이라 예상하고 첫 순례지에 들렸다고 한다. 이곳은 베네딕트 수도회에 속한 여자 봉쇄수도원이다. 서기 580년에 처음 세워졌으나 1944년 2차대전 때 폭격으로 파괴당해 건물을 새로 지었다고 한다.
‘기도와 노동’의 수도원 생활
4. 대가 없이 베푸는 삶이 천국
1. 버리면서 채우는 수도자들의 삶을 따라
수도원 기행 - 공지영
순서
3.‘쎄 떵 미라클’…그것이 바로 기적
수도원기행 공지영 수도원기행 공지영
2.‘기도와 노동’의 수도원 생활
수도원기행 공지영 수도원기행 공지영 / ()
수도원기행 공지영 수도원기행 공지영 / ()
Download : 이가.hwp( 72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다.
수도원에 들어가려면 모두 6년이 걸린다.
설명





‘봉쇄수도원’이란 한 번 들어가면 스스로 수도원 생활을 포기하고 나올 때까지 쇠창살 안에서 지내야 하는 곳을 말한다. 그를 마중 나온 수녀는 “복권이 당첨된 이모를 둔 조카처럼” 얼굴이 밝았다. 베네딕트 수도회의 모토는 ‘기도와 노동’이다. 누구든 노동에 참가해야 하고 매일 여덟 번의 기도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