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1:24
본문
Download : 생명과환경똥살리기서.hwp
배설물 안에 들어있는 각종 세균과 병원균은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사실 1백년 전 미국 정부는 법으로 인분을 퇴비로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손님으로 방문했던 영국인 부부는 고개를 저으며 단호하게 말했다. 어린 시절 여름방학이 오면 가끔씩 강원도의 친척집을 방문하여 한달 정도 생활을 하고 올라오곤 하였다. 동네에서 놀이를 할 때도 주변 주변이 다 퇴비를 쌓아놓고 있어서 온 동네가 좋지 않은 냄새로 진동하였기 때문에 나의 낭만적인 여름방학에 큰 방해가 되었던 것이다. 20년의 인분퇴비 노하우를 지구촌 생태문제, 혹은 노장(老莊)사상과 연계시킨 이 미국인 저자의 문제의식 역시 이 책을 돋보이게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똥살리기 땅살리기 똥살리기 땅살리기 서평 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 (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순서
다.
Download : 생명과환경똥살리기서.hwp( 46 )
설명
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나는 서울에서 태어나서 줄곧 서울에서 자나났다.
똥살리기 땅살리기 똥살리기 땅살리기 서평 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똥살리기 땅살리기 똥살리기 땅살리기 서평 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 (똥살리기 땅살리기를 읽고서)
이 책의 저자가 인분퇴비로 재배한 푸성귀로 손님을 대접하기로 했다는 말을 들었다.
들어가면 코 끝을 괴롭혔던 그 냄새들과 밤이 되어서 화장실을 가야 할 때의 그 두려움과 당황스러움이 나를 무척 괴롭혔던 것 같다. 이런 배설물의 혐오文化(culture) 속에서 등장한 이 책은 거의 놀랄만한 수준이다. 우리는 똥을 먹지는 않습니다. 그 시절을 가만히 생각해보면 시골생활의 낭만과 놀이, 다양한 볼거리를 즐겼으면서도 가장 싫었던 것은 대문 끝에 붙어 있는 화장실을 가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