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하악운동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05:22본문
Download : 하악운동에 대하여.hwp
따라서 이 위치는 진정한 안정위가 아니기 때문에 하악이 유지되는 이 위치는 자세성 위치(postural positioon)라고 명명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이다. 이 위치를 임상적 안정위(clinical rest position)라고 아주 일정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또 이런 임상적 안정위는 근육의 근전도적 활동이 최소가 되는 위치는 아니라는 사실로 conclusion 이 내려진 바 있다 저작근은 하악이 교두간위에서 약 8mm 하방, 3mm 전방에 있을 때 뚜렷하게 가장 적은 활동 수준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하악을 아래로 잡아당기는 중력은 하악을 지지하는 거상근 및 다른 연조직의 탄력성 및 신장에 대한 저항력과 평형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위치가 임상적 안정위로써 가장 잘 說明(설명) 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관절의 관절내압(interarticular pressure)은 매우 낮고 탈구 상태에 근접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기능이 즉시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중력에 저항하고 하악을 보다 기능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는 위치인 교두간위 하방 2~4mm에 위치시키는 근각 반사(myotatic reflex)가 활성화된다 이 위치에서 치아는 즉각적인 기능을 위해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교합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근전도 활성이 증가하는 것은 근각 반사를 나타내는 것이다.
시상면에서 저작 주기를 검사해 보면 저작 운동은 교두간위에서 스타트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하방 및 약간 전방으로 개구하나, 폐구는 개구 운동보다 약간 후방 위치에서 보다 직선적 경로를 따라 되돌아오게 된다
기능운동에 대한 자세 효율(Postural effects on functional movements) - 머…(투비컨티뉴드 )
순서
,기타,레포트






설명
하악의 운동양식에 대한 이론은 치의학의 모든 분야와 관련이 있따 특히 치과 보철은 인공물로 구강 영역의 결손을 보충하는 것이므로 구강악계와 기능적 조화를 이루는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개개인 특유의 하악 운동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악운동내꺼
하악의 운동양식에 대한 이론은 치의학의 모든 분야와 관련이 있다.
레포트/기타
하악운동에 대하여
Download : 하악운동에 대하여.hwp( 85 )
(1) 하악골의 기본운동
1. 접번운동(hinge movement)
2. 활주운동 (sliding movement)
(2) 기능운동 (functional movements)
1. 개폐 운동(Openning and closing movement)
2. 전▪후방운동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3. 측방운동 (lateral movement)
4. 저작시 하악운동
5. 연하시 하악운동
6. 발음시 하악운동
(3) 한계(경계)운동 (Border movement of the mandible)
1. 시상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
(Sagittal plane border and functional movements)
2. 수평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
(Horizontal plane border and funtional movements)
3. 전두면(수직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
[Frontal(vertical) border and functional
movements]
기능 운동은 하악이 기능적 활동을 하는 동안 일어난다. 이는 주로 한계 운동내에 있게 되고 따라서 자유 운동이라고 간주된다 대부분의 기능적 활동은 최대 교합을 요하므로 전형적으로 교두간위나 그 하방에서 스타트된다 하악이 안정시에는 교두간위 하방 약 2~4mm에 위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치과 보철은 인공물로 구강 영역의 결손을 보충하는 것이므로 구강악계와 기능적 조화를 이루는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개개인 특유의 하악 운동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하악운동내꺼 , 하악운동에 대하여기타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