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윤리 7차교육과정의(定義) problem(문제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7:30
본문
Download : 도덕, 윤리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hwp
,인문사회,레포트
도덕.윤리7차교육과정의(定義)problem(문제점)plan
Download : 도덕, 윤리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hwp( 76 )






레포트/인문사회
도덕, 윤리 7차교육과정의(定義) problem(문제점)
제7차 교육과정안에 따른 중등도덕과목의 체계와 문제점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나타난 여러 문제가되는점 들로 말미암아 우리 도덕과는 이전에 비해 위상이 실추되었다.
논자는 이 논문에서 현재 논의되고 있으며 앞으로 논의되어야할 주제들을 소박한 지식으로나마 다루어 보고자 한다. 현재 윤리를 배우고 있는 학생으로서, 앞으로 현장에…(투비컨티뉴드 )
설명
제7차 교육과정안에 따른 중등도덕과목의 체계와 problem(문제점)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순서
다.도덕.윤리7차교육과정의문제점방안 , 도덕, 윤리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인문사회레포트 ,
Ⅰ. 머리말.................................p. 1.
Ⅱ. 교과의 실효성
1.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improvement.........p. 2.
Ⅲ. 교과의 타당성
1. 한국인상과 세계 시민(市民)상의 조화...................p. 3.
Ⅳ. 교과의 체계성
1. 선택 교과의 문제와 수능의 연계성..........p. 3.
2. 생활 영역에 따른 구분 방식의 문제가되는점 ...........p. 4.
3. 인물학습의 남녀 평등화와 국내외 인물의 조화.....p. 4.
4. 다른 교과와의 중복.............................p. 5.
Ⅴ. 맺음말..........p. 6.
Ⅵ. 참고 data(資料)...........p. 7.
Ⅰ. 머리말
인간다운 삶, 더불어 사는 것을 가르치는 교과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도덕이란 명칭으로 오늘날 아이들에게 가르쳐지게 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존폐 위기설까지 주장하면서 도덕 교육의 파행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교과는 6차 교육과정에서 초·중학교에서는 ‘도덕’이라는 교과 명을, 또 고등학교에서는 ‘윤리’라는 교과 명을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초·중·고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속의 ‘바른생활’(1-2학년)과 ‘도덕’ 교과(3-10학년)를 비롯해서 고등학교 2-3학년(11-12학년) 대상 윤리 관련 선택과목들을 모두 포괄하여 도덕교과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덕`의 의미는 좁게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10학년)까지에 이르는 과목 명을 뜻하지만, 넓게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12학년)에 이르는 전체 교과 명을 뜻한다. 그러나 ‘과연 도덕교육이 필요한가?’는 의문은 과거부터 꾸준한 연구의 대상이었고 실제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 가?’의 논의는 현재에도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따 이러한 이유로 현재 도덕과에서 겪고 있는 위기는 비단 오늘만의 일은 아니라 할 수 있따
future 사회를 도덕적인 사회, 인간적인 사회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우리 사회의 요구와 새로운 학생세대들의 도덕적인 문제와 교육적 경향을 반영하여 스타트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과는 6차 교육 과정은 다른 차별성을 가지고 시행하였다. 그렇다면 떨어진 위상을 살리기 위한 가장 좋은 대안은 무엇일까? 아무래도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문제가되는점 들을 8차 교육과정에서 현실에 맞게 구성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