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22:18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hwp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웰렌스키와 르보,라이언의이념적토대,잔여적정의(定義) ,제도적정의(定義) ,예외주의적정의(定義) ,보편주의적정의(定義)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웰렌스키와 르보,라이언의이념적토대,잔여적개념,제도적개념,예외주의적개념,보편주의적개념,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의분야 웰렌스키와르보 라이언 잔여적개념 제도적개념
순서
설명


사회복지의분야,웰렌스키와르보,라이언,잔여적개념,제도적개념,인문사회,레포트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1) 제도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관점
⑴ 웰렌스키와 르보(Wilensky & Lebeaux, 1979)의 구분
① 잔여적(residual) 槪念(개인의 책임성 강조) : 사회복지 제도는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원활히 수행치 못 할 경우에 파생되는 문제를 보완, 해소하기 위한 제도.
▶ 전제 : 개인의 생활의 여러 욕구가 이것을 충족시켜야 하는 가족이나 시장경제와 같은 통로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충족될 것이라는 사실.
㉮ 통상적이고 정상적인 사회구조가 붕괴되었을 때에 한정해서 사회복지가 요청된다는 것.
㉯ 사회의 기본적인 제도인 가족제도와 시장경제제도가 어떤 사유로 인해서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을 때 사회복지가 일시적으로 기본제도를 대신하게 되는 것.
㉰ 사회복지를 가족제도와 시장체계의 보충하는 제도로 보는 것.
㉱ 비상대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회구조의 기능이 정상을 회복했을 때 이 기능은 철수되는 것.
㉲ 사회복지의 기능은 사람들이 정상적인 생활욕구를 충족할 수 있을 때까지 도움을 제공하는 것.
㉳ 클라이언트는 가능한 빨리 도움을 받지 않아야 된다…(dro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hwp( 17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