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실험보고서 -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적정곡선을 얻어 해석하는 방법, 이온화 상수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0:42
본문
Download : 실험보고서 - 산, 염기 적정을 통해.hwp
실험보고서 -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적정곡선을 얻어 해석하는 방법, 이온화 상수 결정
A ↔ B
설명
평형혼합물은 反應이 가역적이기 때문에 얻어진다. 이를 이용해 이온화 상수를 결정하고 산의 세기와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적정곡선을 확인한다.
實驗 theory(이론)
pH메타를 이용한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적정곡선을 얻어 이해하고 해석한다.
다. 평형에서 反應물로부터 생성물이 생성되는 속도는 생성물로부터 反應물이 생성되는 속도와 같다. 이를 이용해 이온화 상수를 결정하고 산의 세기와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적정곡선을 확인한다.
Download : 실험보고서 - 산, 염기 적정을 통해.hwp( 59 )
참고 1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적정곡선을 얻어 해석하는 방법, 이온화 상수 결정
정反應 : A→B 속도f = kf[A]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순서
역反應 : B→A 속도r = kr[B]
불균일평형 : 상이 둘 이상인 계의 평형
화학평형 : 반대 방응이 서로 같은 속도로 진행될 때를 이르는 말. 反應물로부터 생성물이 생성되는 속도와 생성물로부터 反應물이 생성되는 속도가 같아 마치 反應이 정지한 것처럼 보인다.
[B]2/[A]2 = kf/kr = 평형상수
pH메타를 이용한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적정곡선을 얻어 이해하고 해석한다.
여기서 kf와 kr은 각각 정反應과 역反應의 속도 상수 이다.
균일평형 : 反應물과 생성물이 모두 같은 상에 있을 경우의 화학평형
A가 분해해서 B를 생성하는 정反應과 B로부터 A를 다시 생성하는 역反應을 생각해보면 정反應과 역反應은 둘 다 단일단계 反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