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change(변화)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23:02
본문
Download : [A+]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변화 비교.hwp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A+]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변화 비교.hwp( 18 )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 [A+]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변화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북쪽 부엌의 경우, 거실에 비해 온도가 낮으며 외기의 影響(영향)을 덜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아 이는 부엌이 열적으로 변동이 적은 북쪽에 위치하고 있고 일사가 미치지 못하여 이에 의한 影響(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은 때문으로 사료된다
문의 개폐한 대주 208호의 경우 창문을 전면 또는 부분 개방한 시간대는 외기의 상태와 근접한 온도상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아 이는 현대 공동주택의 통풍력이 우수한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할 수 있는데, 전통주택에 비해 현대 공동주택은 상대적으로 고층이며 창호의 면적이 넓고 맞통풍이 잘 유도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2) 습도변화
온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방 및 대청의 경우, 습도변화가 부엌의 경우에 비해 크지 않으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엌의 경우에는 외부 습도의 影響(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는 역시 실 밀폐의 정도가 안방 및 대청의 경우보다 양호하지 못하여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문이 폐쇄된 상태인 전통주택의 경우, 습도가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아 이는 흙벽의 보습능력 때문으로 사료된다 즉, 흙벽이 어느 정도 습기를 품으면 일정시간은 습도에 관…(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A+]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change(변화) 비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