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급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6 16:26
본문
Download : 직능급 제도.hwp
b. 직무의 확정 및 직무의 표준화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2. 대두배경
이러한 직능급제도는 日本(일본)에서 발전된 임금체계이다. 연공급 제도를 그간 중심으로 하였던 日本(일본)에서 기업내 승진정체현상이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조화로운 방법으로 개발된 것으로 직능급은 일을 전제로 한 사람에 대한 임금체계라고 할 수 있다
3. 도입의 전제조건
a. 직위분류에 의한 직능자격제도의 확립이 전제
직능자격제도란 직무수행에 필요한 자격요건으로서의 직무수행능력이 분류되고 등급이 부여된 일정한 직능자격등급을 기준으로 승격, 승진 및 급여(직능급) 등의 처우를 결정하는 종합적인 인사제도이다. 그러나 직능급에서는 임금이 능력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그 직무를 맡고 있지 않더라도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그에 상응한 임금을 지급한다.
c. 직무평가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직능급은 직무의 명확한 표준화가 진전되지 않고 경비가 소요되는 직무평가작업을 할 여유가 별로 없는 중소기업에서 채택하는 경향이 많다.
d. 직능급은 직무급의 경우처럼 적정배치가 불가결한…(省略)
Download : 직능급 제도.hwp( 53 )
직능급 제도
설명
직능급,제도,경영경제,레포트
다.
직능급의 경우 종업원들이 동일한 가치의 직무를 수행하든, 또는 근속년수와 연령 등의 연공이 동일하든지 간에 각 종업원의 직무수행능력 면에서 차이가 발생하면 임금액이 달라진다.
b. 직능의 합리적인 분류기준과 등급의 설정 및 객관적이고 정확한 종업원 능력평가가 이루어 져야 한다.
직능급 제도 , 직능급 제도경영경제레포트 , 직능급 제도
순서
직능급 제도
레포트/경영경제


직능급 제도
1. 직능급의 의의와 특징 및 다른 제도와의 차이점
직능급은 종업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기준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4. 특징
a. 직능급은 동일직능·동일임금의 원칙에 입각한 능력주의적 임금제도
직무급에서는 아무리 능력이 우수하더라도 실제로 그 직무를 맡고 있지 않으면 그 직무에 상응한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이러한 직능급제도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정한 인사평가라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이 선행될때만 구성원의 동의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