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link.co.kr 한의학의 역량 강화 plan > coinlink7 | coinlink.co.kr report

한의학의 역량 강화 plan > coinlink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link7

한의학의 역량 강화 pl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10:21

본문




Download : 한의학의 역량 강화 방안.hwp




이선동 박정배 김인상, 사회과학 측면에서 본 현대 韓醫學의 개선방향, 방제학회지(제2권 제1호), 1991한의학의역량강화방안-한의학cinmous , 한의학의 역량 강화 방안공학기술레포트 ,

한의학의%20역량%20강화%20방안_hwp_01.gif 한의학의%20역량%20강화%20방안_hwp_02.gif 한의학의%20역량%20강화%20방안_hwp_03.gif 한의학의%20역량%20강화%20방안_hwp_04.gif 한의학의%20역량%20강화%20방안_hwp_05.gif 한의학의%20역량%20강화%20방안_hwp_06.gif
레포트/공학기술
한의학의 역량 강화 plan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한의학의 역량 강화 방안.hwp( 43 )





옛 선현들은 우리 민족의 文化(culture) 적 독창성을 계승시켜 왔으며, 歷史적 소용돌이 속에서도 한의학을 수용·발전시켜 왔다. 시대의 요구에 우리는 동참하고 있으며, 노력하고 있는가? 한의학의 객관화와 보편타당성여부, 치료기술개발, 동서의학의 협조와 보완, 타학문과의 연관성 속에서 한의학의 새 좌표 설정, 산학 협동체계, 신개척분야 개발, 임상의학의 평준화 등이 지금까지 한의학 발전책으로 제시되고 있따 이선동 박정배 김인상, 사회과학 측면에서 본 현대 韓醫學의 改善방향, 방제학회지(제2권 제1호), 1991
다. 의학연구의 목적이 보다 나은 치료술 및 의약품을 도출히라고 할 가장 기본인 기초 임상자료(data)의 축적이 안되는 이런 의료체계에서는 한의학의 현 상태나 future(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현재 한방임상에서 保險신청 및 진단서 발급 등 여러 영역에서 병명은 주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아 그 동안 한의병명은 여러 고전에 근거하여 병명과 증명이 혼용되어 임상연구나 진료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아 한의병명은 주로 『東醫寶鑑』을 중심으로 그 동안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불리어 오는 병명을 사용하고 있으며 분류 또한 이에 준하고 있다아 그러나 『東醫寶鑑』은 시대적으로 많은 국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東醫寶鑑』 이 현대에 이르는 사이에 다양화된 많은 질환을 다루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합의에서는 양방병명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가 가장 난제중의 하나이다.한의학의역량강화plan-한의학cinmous
차 례



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2


Ⅲ. 본론 3

1. 증거 중심주의 의학이 되어야 한다. 7
5. 한의학 의료정보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한의학 임상實驗의 연구 목적 질병이 “肺風證”, “結胸證”, “水痛”, “腰痛”, “中風” 이라면 이런 질병명으로는 임상實驗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모든 한의학 연구개발의 가장 기초인 표준질병사인분류의 문제점(問題點)을 통찰하여 이에 대한 한의학계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6
4. 한의학 임상實驗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또한 20세기 이후 동점(東漸)한 서양의학이 현재 한국의료체계에 충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오히려 서양병명위주로 만든 질환이 명명되고 있는 실정이다. 10


Ⅳ. conclusion(결론) 12


-.reference 13





2. 질병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3
2. 질병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러므로 실제 임상에서 동서의 두 질병명이 혼용되어 학문과 행정상에 많은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아 정우열, 한의질병명과 분류표준화에 대한 기초理論 연구, 서울, 제3의학회, 1998, p9

이런 상태에서 치료하고자 하는 질병명이나 증명은 일개 한의사 입자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지만 한의학 의료정책에서나 연구개발, 임상한의학 정보의 활용에서 현재의 한의학 질병명 및 진단명 체계로는 의료정책, 연구,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 질병과 한의학 의료기술을 통한 임상정보의 축적 분석 평가를 efficacy적으로 하기 어렵다. 4
3.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시대의 요구에 우리는 동참하고 있으며, 노력하고 있는가? 한의학의 객관화와 보편타당성여부, 치료기술개발, 동서의학의 협조와 보완, 타학문과의 연관성 속에서 한의학의 새 좌표 설정, 산학 협동체계, 신개척분야 개발, 임상의학의 평준화 등이 지금까지 한의학 발전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진단의 난맥, 치료과定義(정이) 觀察(관찰) 불가능, 연구결과의 무가치 …(skip)

순서
옛 선현들은 우리 민족의 문화적 독창성을 계승시켜 왔으며,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도 한의학을 수용·발전시켜 왔다.
전체 31,16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lin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