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크라캉 리포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22:50본문
Download : 자크라캉 리포트.hwp
아니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이 단계에서 아이는 자신의 몸을 가눌 수는 없지만 거울에 비친 자신의 이미지를 총체적이고도 완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보여짐」을 모르고 「바라봄」만이 있는 단계는 생물학적 experiment(실험)에서도 드러나는데 예를 들어 암비둘기의 생식선은 성에 관계없이 같은 종류의 비둘기를 「바라볼 때」성숙한다.자크라캉 리포트
Download : 자크라캉 리포트.hwp( 20 )




자크라캉에 대상으로하여
,공학기술,레포트
자크라캉리포트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자크라캉에 대해서자크라캉리포트 , 자크라캉 리포트공학기술레포트 ,
▷ 주체는 결핍이요, 욕망은 환유이다. 라캉에게 「실재계(the real)」는 상상계와 상징계가 뫼비우스의 띠처럼 변증법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거울단계는 「상상계」라고도 하는데 이 단계는 「상징계」로 진입하면서 사회적 자아로 굴절된다된다. 그러므로 주체의 형성에서 거울단계의 설정은 데카르트의 이성절대주의는 물론이고 실존주의나 현상학이 암시하는 실존적 자아까지도 거부한다. 그들은 모두 이 오인의 구조를 바탕에 깔고 있지 않은 흠집 없는 이성, 혹은 현실원칙에만 굳건히 서 있는 의식의…(투비컨티뉴드 )
다.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어린 아기는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환호성을 울리며 반가워한다. 상상계는 거울 속에 비친 영상과의 동일시 혹은 원초적인 질투가 벌이는 극적 사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형태는 정신analysis 용어로 이상적 자아(ideal-I)라 불리는데 타자에 의해 보여짐을 모르는 객관화되기 전의 「나」에 해당된다된다. 언어의 세계요, 질서의 세계인 상징계로 진입하면서 이 거울단계는 사라지거나 프로이트의 경우처럼 억압되는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으로 연결된다된다. 따라서 의식은 출발을 상상계라는 오인(méconnaissance)의 구조로부터 처음 하기에 자아를 완벽하게 조정하는 절대적 주체란 없다. 아이는 그 속에 비친 모습을 자신과 완전히 동일시하는데 라캉은 이 단계를 「거울단계」라고 하여 주체의 형성에 원천이 되는 모형으로 제시한다. 홀로 사는 메뚜기가 모여 사는 메뚜기로 변할 수 있는 것도 바라보기만 하는 것에 의해 일어난다. 이제 유아는 타자와 자신을 동일시하기에 자신의 욕망을 타자의 욕망에 종속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