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定義(정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13:53
본문
Download : 장애의 개념(2).hwp
장애의 개념 , 장애의 개념인문사회레포트 , 장애 개념
_hwp_01.gif)
_hwp_02.gif)
장애,개념,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장애의 定義(정의)
장애의 槪念
장애라는 용어는 매우 광범위하고 모호한 槪念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1980년 세계보건기구에서 내린 formula적인 定義(정이)에 의하면 장애(disability)는 의학적 손상(impairment)의 직접적인 결과로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손상된 능력이 장애를 구성한다고 하였다.
그림. 장애체계
한편, 세계보건기구의 장애 槪念을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인 비극으로 보는 시각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보는 시각으로 變化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세계보건기구에서는 1980년에 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분류체계를 만들어 Cause 에 관계없이 사회적 불이익을 받는다는 결과를 중심으로 장애를 설명(說明)하기 때문에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이 확장될 가능성을 높였으며, 1997년에 새롭게 제안한 ICIDH-2에서는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槪念적 차이를 한 체계 안에서 설명(說明)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장애를 3차원의 축(손상, 활동, 참여)으로 분류하면서 손상과 활동(activity)은 개별적 모델의 槪念을, 상황요인(contextual factors)과 참여(participation)는 사회적 모델에서의 environment(환경) 을 제시하고 있따 이…(省略)
장애의 定義(정의)
설명
순서
Download : 장애의 개념(2).hwp( 98 )
다.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원조는 단순한 물질적 제공이라는 자선의 형태로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장애인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定義(정이)하고 있따 이러한 장애의 槪念은 수정 보완되면서 의료적이고 개별적인 접근에서 사회environment(환경) 적 접근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變化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은 장애인이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따
즉,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갖게 되는 능력이란 그들에게 직접적으로 혹은 주보호제공자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들이 얼마나 제공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