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12:38
본문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hwp
*프레드릭 제임슨은
:포스트 모더니즘은 文化(문화)양식의 패러디라기 보다 혼성모방이다! 라고 주장한다.
→유토피아가 현재 자체임을 인정하게 한다. 20세기 혁명적
:예술을 상품생산체제 속에 용해함으로써 패러디화 하는것!→ 아방가드르 예술이다!
페터 뷔르거 -《아방가르드 theory(이론)》
―예술의 제도적 자율성 해체
―文化(문화)와 정치현실의 간극을 해체
―미학적 생산품을 사회적 실천 속에 비특권 위치로 되돌림
∴상품화 된 예술품에서 예술과 사회를 통합하려는 것은 볼썽 사나운 희화적 모습일 뿐...
마야코프시키 류의 비극→이제는 소극의 형식으로 연출
―마치 부르조아文化(문화)가 포스트 모더니즘에게 냉소적 복수를 하는 것 같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hwp( 90 )
이글턴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에 대한 자료입니다.
와홀-다이아몬드 가루신발. 캠벌수프 시낭송→신발과 수프깡통으로....
-포스트 모더니즘 文化(문화)산물의 표피는 깊이, 文化(문화), history성, 집착 등의 성질을 결여하기에,
아무런 소외도 의미하고 있지 않다 (소외=진실성)
:소외될 주체가 없다, 진실성이 망각되고 있따
:깊이라는 용어자체가 무의미하기에, 예술형식에 천박함 이없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사회주의적 유토피아에 대한 음산한 패러디이다.
ex)물화현상
물화현상의 확산→인식 가늠의 자체를 없앰→자심의 실체를 은폐
―전통적인 형이상학에서 신비: 끝없는 심연의 탐구
―…(skip)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에 대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소외를 가중시켜, 우리를 우리자신의 소외로부터 소외시킨다. 이글턴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예술과 사회적 실천을 결합하려는 욕망은 차단·왜곡되며 암흑사회의 현실일 뿐...
∴포스트모더니즘은 아방가르드의 시도를 흉내내면서 동시에 그 융합이 지닌 정치적 내용을 말살한다.
·혼성모방이란?
-패러디와 마찬가지로 가면의 모방이며,죽은언어로 된말.
-but 혼성모방은 흉내내기를 중성적으로 수행함
:궁극적 동기 결여, 풍자적 충동결여, 웃음결여
비정상적인 언어활동 속에 어떤 정상적인 언어형태는 없음을 확신
*포스트 모더니즘 文化(문화)는 패러디와 전혀 무관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