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18:53
본문
Download : 북한_2019383.hwp
(라) 통사·의미적 차이
한자어가 남한과 통사적 용법에서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한자어는 음절마다 해당 한자음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예술선동(격려)의 목소리가 우렁차다.
·약초생산기지(재배지)를 건설할데 대한 기획.
·무대지령체계(감독)를 다지자.
·원료기지(식량공급터전)를 꾸미는데 일떠나서자.
·혁명가요를 창작하기 위한 투쟁을 전개하자.
·전사들의 생명을 지키는 초소(임무)를 맡다.
북한의 한자용어는 전투적, 선동적, 호전적 의미를 가진 군사용어가 많이 쓰기고 있따
② 의미적 차이
·감옥(監獄)
(남) - ① 형무소의 전 이름, 교도소
② 조선왕조에서 형벌 집행에 관한 사무를 맡았던 관청.
(북) - 낡은 사회에서 형을 언도받은 사람이나 재판 중에 있는 사람을 잡아가두어 두는 착취국가의 폭력 시설.
·노작(勞作)
(남) - ① 힘써 일함. ② 노력을 들여 만든 작품. 역작,
(북) - ① 로동계급의 혁명리론 발전에 커다란 리론실천적 의의를 가지는 고전적 저서
② 전날에 힘을 들여 지은 저작이나 작품
…(투비컨티뉴드 )
,감상서평,레포트
북한에 대한 글입니다.
·수출전투는 성공했다.
·우리가 령농전투에서 승리했다.
북한
레포트/감상서평
북한의어휘론해피
순서
북한에 대한 글입니다.






Download : 북한_2019383.hwp( 33 )
설명
북한에서는 한자어 그대로를 읽고나서 쓰기를 고수함으로써 남북한의 차이를 초래하고 있따
(다) 한자어 어두 초성의【랴, 려, 표, 류, 리, 례】의 표기
【남한】두음법칙에 따라【야, 여, 요, 유, 이, 예】로 적고, 접두사처럼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초성이【ㄴ, ㄹ】로 소리날 때, 또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명사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는다.
① 통사적 차이
·탁구전법을 열심히 학습해 나가자.
·모내기전투가 벌어졌다. 따라서 두음법칙을 무시하여【랴, 려, 료, 류, 리, 례】로 적는다.
·직접 강의에 출연(출강)하였다.북한의어휘론해피 , 북한감상서평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