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노동요의 민요론적 가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19:08
본문
Download : 제주 노동요의 민요론적 가치.hwp
따라서 이는 이어받기와는 다른 별도의 한 창법으로 설정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또 노동요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풍부한 함의를 지닌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
2. 노동요의 노래 동기
다소 새삼스럽고도 멍청한 질문을 하나 던져 보자. 그 힘든 노동을 하면서 더 힘들게 마련인 노래는 왜 부르는가? 어찌 보면 그 대답은 너무 자명한 것처럼 보인다.
레포트/기타
본고는 그 展望(전망) 을 노동요의 노래 동기를 규명하는 쪽으로 모아 민요 이해의 한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나 자명해 보이는 것일수록 그 근원의 규명은 철저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 이런 원론적인 질문이 없더라도 노동요는 노동의 현장에서 노래되어 왔고 또 노래될 것이기 때문에 질문이 새삼스러울…(skip)
제주 노동요의 민요론적 가치
Download : 제주 노동요의 민요론적 가치.hwp( 52 )






순서
다.
설명
본고는 그 전망을 노동요의 노래 동기를 규명하는 쪽으로 모아 민요 이해의 한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제주 노동요의 교환창이 보여 주는 세 방식 즉 ‘이어받기’, ‘반복하기’, ‘각각 하기’의 세 유형 이외에 ‘논평하기’를 추가하여 네 유형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제주 노동요의 교환창이 보여 주는 세 방식 즉 ‘이어받기’, ‘반복하기’, ‘각각 하기’의 세 유형 이외에 ‘논평하기’를 추가하여 네 유형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 제주 노동요의 민요론적 가치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1. 제주 노동요 창법의 특이성
2. 노동요의 노래 동기
3. 교환창의 네 가지 유형과 민요론적 함의(含意)
3.1. 반복하기와 동화(同化)의 원리
3.2 이어받기와 대화의 원리
3.3 각각 하기와 독백의 원리
3.4 논평하기와 교감(交感)의 원리
4. 제주 노동요와 민요 논의
여기서 을의 사설은 갑의 사설에 대한 논평이거나 意見의 개진 또는 상황에 대한 언급으로 되어 있다 앞의 사설에 관련하여 뒤의 언급이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본다면 앞 사설이 뒤의 사설을 규정한다고 할 수 있고, 이런 점에서 본다면 이어받기와 흡사한 성격을 지닌다고도 볼 수 있지만, 이어받기는 주로 그 노래의 사설을 완성시키기 위한 진행임에 반하여 논평하기는 완성을 위한 순차적 진행과는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개진한다는 점에서 이질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