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버시 影響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8:22
본문
Download : 프라이버시 영향평가제도에 .hwp
즉, 정보화사업을 계획하는 단계에서부터 당해 정보화사업이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에 미치는 effect 등을 평가하고 검토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세움으로써 정부기관에 의한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을 침해 초기 단계에서부터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전 예방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이 강구됨을 기반으로 전자정부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해 일반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막연한 불신감이 해소될 수 있음은 물론 국민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정부정책의 정당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지속적인 정보화사업 추진에 있어서 꼭 필수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가 개인정보기본법의 제정 방침을 밝히고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도입을 검토중이다.
1) 절차상의 문제
② 미국
1. PIA 도입을 준비하자
3.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절차
2. 정보통신기술과 인권과 법
3. 개인정보처리의 관점에서 본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necessity need
1) 전자주민카드의 위법성과 법률적 drawback(걸점)
1. NEIS(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나. 국가의 對시민(Citizen)감시 능력의 향상
Ⅷ. 마치면서(결 론)
라. 노동자 감시의 강화
다.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을 염두에 두고 인권시민(Citizen)사회단체들이 지난 5월 27일 공개한 개인정보보호법 인권시민(Citizen)사회단체(안)에도 프라이버시 effect평가가 포함되어 있다아 이런 가운데 향후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제도 대상의 기준과 범위가 명확하게 정립돼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아 제도의 입안 과정에서 관련 업계의 반발 때문에 용두사미격의 제도 시행으로는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necessity need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NEIS에 대한 문제와 같은 구체적 사례(instance)와 이에 따른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necessity need 등에 논의의 중점을 맞추어 기술하고자 한다.
(1) effect평가의 실시
② 데이터 흐름 分析
2) 정보 통합으로 인한 drawback(걸점)(나치의 유태인 학살, 남아공의 인종discrimination도 신분증제 도를 통해 가능했다)
3) 관리시스템보안의 drawback(걸점)
(2) 전자주민카드도입의 drawback(걸점), 첨단기술을 통한 국민통제의 강화
① NEIS 구축에 사용되는 개인정보의 종류
2) 개인정보 등재로 인한 프라이버시시권의 침해
(2) 위치정보의 프라이버시적 特性
2.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대상
(3) 특 징
1. 미국과 캐나다의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現況
(2) 제도의 의의
3) effect평가의 절차 및 내용
2. OECD의 사적권리 보호를 위한 권고안
① NEIS 문제는 중앙중심(top-down)의 전자정부 추진방식이 갖는 한계와 최근 부각 되고 있는 정보인권에 대한 신중한 고려부족으로 발생
(4) 위치정보 이용의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평가 미비: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필요
다. 공공기관이 정보화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사전에 개인정보에 대한 effect평가를 실시해 평가결과에 따라 사업계획을 보완하거나 철회하도록 조치하겠다는 것이다. 2004년에 들어서서는 이 같은 움직임은 보다 본격화되었다. 위치정보의 상업적 이용
Ⅲ.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
(6)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특징
(2) 평가 결과의 제출
(2) NEIS의 추진배경과 목표(goal)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전자정부 WON_TIS 통합전자주민카드
(5) NEIS drawback(걸점)에 있어서 노정갈등의 본질
가. 위치정보의 수집에 따른 오남용의 위험성
(5) 평가범위의 확대
(3) 평가 결과의 반영
ⓒ 통합의 법률적 문제
(2) 주요내용
Ⅶ.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제도의 국내법적 도입plan
③ 프라이버시 分析
2. 미국의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제도
(6) effect평가와 예산의 연계
(1) 연 혁
③ 호주와 뉴질랜드
(4)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내용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1) 들어가며
(3) NEIS 갈등의 처음 과 확대배경
3. 캐나다의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제도
(1) 의 의
(1) WON_TIS란 무엇인가?
2) effect평가의 대상
(1) effect평가의 의의
문제
(1) 도입배경
1) effect평가의 주체
3. WON_TIS의 문제
(3) 주체 및 대상
Ⅳ. 외국의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제도
ⓐ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와 사생활권 보호의 법률적인 문제
④ 정보 관리 방식에 대한 적절한 대안의 모색
Download : 프라이버시 영향평가제도에 .hwp( 90 )
ⓑ 국민동의 절차의 무시
2. 과학 발달의 측면에서 본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성장 배경
1. 서 론
(2) 프라이버시 사전effect평가의 의의
4. 통합전자주민카드도입의 좌절
(4) NEIS의 drawback(걸점)
② NEIS의 인권침해(사생활의 비밀 침해)
① 프랑스
1.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제도의 의의
① effect평가의 necessity need 판단 및 개시
(4) 평가 결과의 공개
Ⅴ.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necessity need
(5)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절차
2. 프라이버시와 정보공개의 측면에서 본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necessity need
④ 프라이버시 effect分析 보고
2. 휴대폰,Internet의 위치정보와 프라이버시
1.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주체
(3)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전자정부 WON_TIS 통합전자주민카드 / (기타)





4. 프라이버시 effect평가의 내용
②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NEIS에 입력되는 학생들의 정보가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인 권을 침해한다는 문제(정보화의 necessity need과 정보인권의 가치충돌, 논란의 초점은 행 정효율성이 아닌 인권과 교육의 문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전자정부 WON_TIS 통합전자주민카드 / (기타)
Ⅰ. 들어가는 말
1. 미 연방의회 프라이버시보호법의 8대 원칙
Ⅵ. 외국과 국제기구의 사적권리 보호 원칙
설명
순서
프라이버시 影響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5. 입 법 방 식
③ NEIS의 위법적 성격
5. 신분증도입을 시도하다가 국민의 반대로 무산된 경우(국외)
Ⅱ. 프라이버시 effect평가 제도란
(1) 전자주민카드는 정보화 시대의 만능키였나
(2) WON_TIS의 drawback(걸점)
2003년 11월 한국전산원과 정보통신부는 전자정부에 적용되는 공공부문 정보기술아키텍처(ITA)에 개인정보보호effect평가를 적용하는 plan을 연구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