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한국의 온돌에 상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1 19:23
본문
Download : [레포트] 한국의 온돌에 대해서[1].hwp
또 함경북도 웅기지방에선 청동기 시대 움집이 발굴되었는데, 그 움집에는 구들의 흔적이 있다고 한다.레포트/자연과학
[리포트] 한국의 온돌에 상대하여
Download : [레포트] 한국의 온돌에 대해서[1].hwp( 92 )
설명
[레포트] 한국의 온돌에 대해서[1] , [레포트] 한국의 온돌에 대해서자연과학레포트 , [레포트] 한국의 온돌에 대해서
Ⅰ. 서론
한국 文化사 project로 우리 文化재 중 유네스코에 등록되지 않았지만 등록될 만한 가치를 가진 文化재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게 됐다.
온돌에 관한 첫 기록은 7세기 중엽 china 고대 기록 [구당서(舊唐書)]에 있는 고구려 사람에 관한 부분인데, 이와 같이 적혀있다아
1)“사람은 산골짜기에 살며, 지붕은 따로 덮었다. 약 5만 년 전 구석기 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회령군 오동의 제8호 ‘집자리’에서 바닥의 화덕자리와 모퉁이, 벽면에 여러 개의 주구(굴뚝자리)가 발굴 되었고, 두만강 유역에서 발굴된 신석기 시대(B.C 5000~4000)의 움집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목적으로 만든 화덕이 발견 되었다.
Ⅱ
1.온돌의 歷史적 기록
우리나라 구들歷史는 수백만 년 전부터 이어져 왔다고 추측한다. 이 외에도 고구려 벽화나, 발해의 왕궁터에서도 흔적을 볼 수 있다아 이러한 구들文化가 온돌로 발전해 온 것이다.”
이 내용을 보면 당시 china에는 구들文化가 없었지만 고구려 살림집에는 구들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이 밖에 [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會編)], [대금국지(大金國志)] 등이 있고 우리 나라 기록으론 삼국유사 ‘백제전’, 고려시대의 [보한집]에…(drop)
[리포트] 한국의 온돌에 상대하여[1]
순서
[레포트],한국의,온돌에,대해서,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20한국의%20온돌에%20대해서[1]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C%9D%98%20%EC%98%A8%EB%8F%8C%EC%97%90%20%EB%8C%80%ED%95%B4%EC%84%9C%5B1%5D_hwp_01.gif)
![[레포트]%20한국의%20온돌에%20대해서[1]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C%9D%98%20%EC%98%A8%EB%8F%8C%EC%97%90%20%EB%8C%80%ED%95%B4%EC%84%9C%5B1%5D_hwp_02.gif)
![[레포트]%20한국의%20온돌에%20대해서[1]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C%9D%98%20%EC%98%A8%EB%8F%8C%EC%97%90%20%EB%8C%80%ED%95%B4%EC%84%9C%5B1%5D_hwp_03.gif)
![[레포트]%20한국의%20온돌에%20대해서[1]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C%9D%98%20%EC%98%A8%EB%8F%8C%EC%97%90%20%EB%8C%80%ED%95%B4%EC%84%9C%5B1%5D_hwp_04.gif)
![[레포트]%20한국의%20온돌에%20대해서[1]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C%9D%98%20%EC%98%A8%EB%8F%8C%EC%97%90%20%EB%8C%80%ED%95%B4%EC%84%9C%5B1%5D_hwp_05.gif)
![[레포트]%20한국의%20온돌에%20대해서[1]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C%9D%98%20%EC%98%A8%EB%8F%8C%EC%97%90%20%EB%8C%80%ED%95%B4%EC%84%9C%5B1%5D_hwp_06.gif)
다. 겨울에는 긴 구들을 만들고 그 아래에 불을 지펴 방을 덥힌다.
우리나라 文化재 중 유네스코에 등록되어 있는 것은 우선 유형 文化재로는 종묘, 창덕궁, 불국사와 석굴암, 수원화성, 해인사 팔만대장경, 경주 歷史 유적지구, 고인돌유적이 있고 기록유산으로는 승정원일기,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이 등록되어 있으며 무형文化재로는 판소리와 종묘제례악이 등록되어 있다아
위의 文化재 말고도 우리나라 文化재 중에는 유네스코에 등록될 만큼 뛰어난 文化재들이 있다아 김치, 조선 온실, 자격루 등등 많은 文化재 중 온돌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