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Erik H. Erikson]의 심리사회성 발달이론(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2:45본문
Download : 에릭슨[E.H.Erikson]의 심리.hwp
에릭슨[Erik H. Erikson]의 심리사회성 발달이론(理論)
순서
이 단계는 프로이드의 구강기에 해당되는 시기로서 ,출생에서 약 1세까지를 가리킨다. 그는 생애주기를 8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를 통하여 나타나는 자아의 property(특성)에 촛점을 맞추고 이러한 인간발달은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이라는 가정을 세웠다. 이 시기 동안에 유아가 맺게 되는 사회적 관계는 주로 돌보아 주는 사람인 어머니와의 관계이다. 또한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최대의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은 자아라고 보았으며 프로이드와는 대조적으로 자아를 자율적인 성격구조로 보았다.
1. 주요관념
자율성 대 수치심
![에릭슨[E.H.Erikson]의 심리-931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EC%97%90%EB%A6%AD%EC%8A%A8%5BE.H.Erikson%5D%EC%9D%98%20%EC%8B%AC%EB%A6%AC-9310_01.jpg)
![에릭슨[E.H.Erikson]의 심리-931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EC%97%90%EB%A6%AD%EC%8A%A8%5BE.H.Erikson%5D%EC%9D%98%20%EC%8B%AC%EB%A6%AC-9310_02_.jpg)



설명
자아통합 대 절망
생산성 대 침체성
◇ 자아 강조 : 자아는 성격의 독립적인 부분이다.
3. 이론(理論)에 대한 평가
다. 다시말해 人生(인생)주기의 각 단계에는 그 단계에 따른 생리적인 성숙과 개인에게 부과된 사회적 요구로 부터 발생하는 위기가 수반되며, 성격은 이러한 과업이나 위기가 어떤 식으로 해결되는 가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근면성 대 열등감
2. 심리사회적 발달theory(이론)
◇ 발달 단계의 확장
2. 심리사회적 발달이론(理論)
친밀감 대 고립감
솔선성 대 죄책감
신뢰감 대 불신감
◇ 성격형성에 文化(문화), 사회, 역싸가 미치는 영향 인식
제 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 (=프로이드의 심리적 발달theory(이론), 구순기:0~18개월)
에릭슨은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인간의 생애는 신체적/심리적으로 성장하는 유기체와 사회적 영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하며, 생애주기를 통한 발달적 變化(변화), 사회적, 역싸적인 요인을 배경으로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1. 주요개념 2.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수치심 솔선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정체감 대 역할혼미 친밀감 대 고립감 생산성 대 침체성 자아통합 대 절망 3. 이론에 대한 평가
1. 주요개념
에릭슨,Erik H. Erikson, 심리사회성 발달이론
정체감 대 역할혼미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에릭슨[E.H.Erikson]의 심리.hwp( 59 )
人生(인생)주기의 각 단계는 이 단계가 우세하게 출현되는 최적의 시간이 있고 그리고 모든 단계가 계획대로 전개될 때 완전한 기능을 하는 성격이 형성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