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4:38본문
Download :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hwp
墨家는 남을 사랑하는데 있어서 同等性을 强調하지만, 儒家는 差等性을 主張한다. 이는 孟子 當時에 墨學의 地位와 그 影響力이 얼마나 컸던가를 짐작할 수 있는 表現이다. 이것은 儒‧墨의 人間關係에 대한 根本的인 視角의 差異에 起因하는 것이다.
孟子는 ‘兼愛’를 ‘無父’의 行爲라고 批判하였다. 이에 孟子는 “능히 楊‧墨을 막는다고 말하는 者는 聖人의 무리이다”고 까지 말하였다. 그러므로 孟子는 當時의 狀況을 記述하기를, “聖王이 나지 아니하여 諸侯가 放恣하며 선비의 議論이 비뚤어지게 하고, 楊朱‧墨翟의 말이 天下에 가득하여 天下의 말이 楊朱에게 돌아가지 아니하면 墨翟에게 돌아간다”고 하였다. 특히 孟子가 活動하던 時期는 戰國時代로서 當時에는 思想的으로 儒‧墨이 思想界의 二大潮流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孟子는 自己家族을 먼저 사랑한 연후에 남의 가족을 사랑하게 되며, 그 出發點을 六親에 있다고 보았다.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
Download :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hwp( 78 )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705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7%B9%EC%9E%90%EC%9D%98%20%EB%A6%AC%20%EC%82%AC%EC%83%81%EC%97%90%20%EB%8C%80%ED%95%B4-7051_01.gif)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705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7%B9%EC%9E%90%EC%9D%98%20%EB%A6%AC%20%EC%82%AC%EC%83%81%EC%97%90%20%EB%8C%80%ED%95%B4-7051_02_.gif)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705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A7%B9%EC%9E%90%EC%9D%98%20%EB%A6%AC%20%EC%82%AC%EC%83%81%EC%97%90%20%EB%8C%80%ED%95%B4-7051_03_.gif)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
설명
1)個人의 私利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다. 또한 楊朱의 思想도 墨子思想과 함께 盛行하여 孔子의 道가 오히려 뚜렷하지 못하였다.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
이와 같이 孟子의 時代는 오히려 孔子의 道가 衰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그러므로 孔子의 道의 繼承을 자처한 孟子가 墨子의 思想을 排斥함은 당연한 理致이며, 그 정도가 다른 諸子에 비해 가장 極端的인 것이다.
孟子가 墨子와 對立되는 것은 墨子思想의 核心인 ‘兼愛’와 ‘交利’이다.
[동양철학론] 맹자의 리 사상에 대해
孔子이후 儒家의 道統을 繼承한 것은 孟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