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program 개발과 효과(效果)성 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18:48
본문
Download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_5062352.hwp
이로 인한 아동의 낮은 의사소통기술(Frey, 1989), 발달상의 과업을
성취하는 아동의 저하된 능력, 낮은 수준의 사회적 reaction response성, 반복적인 행
동유형(Beckman, 1983), 계속적인 보살핌의 필요(Tavormina et al., 1981)
등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들이며, 이로 인하여 발달장애아동의 어
머니들은 정상아동의 어머니들에 비해 많은 우울을 경험하게 된다
(Baldwin et al., 1994; 이승희 외 , 2000; 조인수 외 , 2000).
이와 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우울로 인한 정신건강상의 어…(skip)
발달장애아동어머니의정신건강개선program개발과효과(效果)성평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program 개발과 효과(效果)성 평가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_5062352.hwp( 13 )
발달장애아동어머니의정신건강개선프로그램개발과효과성평가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인문사회,레포트






Ⅰ. 서론
Ⅱ. 理論(이론)적 배경
1.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2. 사회적지지
3. 발달장애 부모 프로그램(program]) 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2. 연구설계
3. 연구참가자
4. 평가도구 및 analysis(분석) 방법
1) effect성 평가
2) 과정 평가
Ⅳ. 프로그램(program]) 개발 과정 및 내용
1. 프로그램(program]) 구성의 理論(이론)적 근거
2. 프로그램(program]) 개발 과정
3. 프로그램(program]) 의 구조
4. 프로그램(program]) 의 내용
5. 진행 과정 및 내용
Ⅴ. 연구결과 및 analysis(분석)
1. 實驗(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비교
1) 일반적 特性의 동질성 비교
2) 우울에 있어서의 동질성 비교
2. 프로그램(program]) 의 effect성 평가
1) 우울의 사전-사후 점수
2) 우울의 사전-사후 change(변화)
3. 프로그램(program]) 의 과정 평가
Ⅵ. 결론 및 논의
*Reference List
2. 理論(이론)적 배경
1)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발달장애란 뇌성마비 , 발달지연, 정신지체, 자폐증 등을 포함하는 용어
로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학문상의 정이이며, 보건복지부의 장애등
급 판정기준과는 차이가 있따 이 프로그램(program]) 의 대상은 주로 뇌성마비와
발달지연으로 진단받은 아동의 어머니들인데, 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에
대한 비진행성 병변 혹은 손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운동과 자세의 장애를
보이는 임상적 증후군을 말하며, 발달지연은 뇌성마비의 전형적인 증상
이 아직 나타나지 않는 아동들에게 내려지는 진단명이다(김진호,1997).
발달장애의 동반증상으로는 지능장애, 시각장애 및 행동장애 등이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