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우수게임] 글로벌 시장으로 - 신청에서 수상까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9:46
본문
Download : 081106033647_.jpg
아케이드게임은 게임기 사진과 설명서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달의 우수게임] 글로벌 시장으로 - 신청에서 수상까지
심사는 작품성과 기획 및 시나리오, 그래픽 및 캐릭터, 사운드 4개 분야로 나뉘어 이뤄진다. 모바일게임 중에서는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 나와 복수의 작품이 수상의 영광을 안은 달도 있다아
레포트 > 기타





장동준기자 djjang@
이렇게 치열한 경합을 거쳐 이달의 우수게임으로 선정된 작품은 culture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주어진다. 작품 접수는 한국게임산업진흥원에서 받는다. 특히 온라인(online)게임과 모바일게임은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더 높다. 경쟁률은 3 대 1이다. 또 게임 분야 병역특례업체 선정이나 게임 개발자 해외 연수 과정, 수출 상담회 등 culture부가 주관하는 게임 관련 지원 사업에서 가산점을 부여받는다.
심사위원 중 한 명인 조은하 우송대 교수는 “전문성에 따라 심사하는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게임을 평가할 수 있다”며 “어떤 달에는 단 1∼2점 차이로 수상작이 갈리는 박빙의 승부가 연출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달의 우수게임] 글로벌 시장으로 - 신청에서 수상까지
[이달의 우수게임] 글로벌 시장으로 - 신청에서 수상까지
[이달의 우수게임] 글로벌 시장으로 - 신청에서 수상까지
◇신청 방법:한국게임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kogia.or.kr) 문의 (02)3153-2222
다양한 홍보 지원도 뒤따른다, 이달의 우수게임 수상작은 전자신문과 더게임스 지면에서 매월 수상작을 소개하는 특전이 있다아 culture부의 보도 를 통해 다른 매체와 인터넷(Internet) 사이트에도 소개된다된다.
Download : 081106033647_.jpg( 27 )
다.
◇신청 대상:시상월 기준 6개월 이내에 등급 분류를 받은 국산 창작 게임
◇심사 기준:작품성(40%), 기획 및 시나리오(30%), 그래픽 및 캐릭터(20%), 사운드(10%), 네티즌 투표(0∼5 가산점)
심사위원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아 게임학과 교수를 비롯해 그래픽이나 사운드 전문가, 게임 전문 벤처캐피털 심사역, 작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아우른다.
설명
이달의 우수게임은 말 그대로 국내 게임업체가 만든 게임 중 우수한 작품을 골라 주는 상이다.
순서
올해는 10월까지 총 63개의 게임이 출품됐다. 이 가운데 세 가지 분야의 수상작을 모두 더하면 21개 작품이다.
응모 분야는 PC·온라인(online)·비디오게임 부문과 업소용·모바일·PDA 부문 그리고 기능성 부문으로 나뉜다. 신청할 때는 시놉시스 및 캐릭터 설명서 등이 포함된 게임기획서와 10분 내외의 동영상 를 제출해야 한다. 시상월 기준으로 6개월 이내에 게임물등급위원회의 등급 분류를 받은 국산 창작 게임이라면 어떤 작품이나 응모 가능하다. 여기에 네티즌의 온라인(online) 투표 결과를 가산점으로 부여, 수상작을 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