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한반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4:46
본문
Download : 북한과 한반도.hwp
그리고 제8차 개정헌법 제17조에 ‘자주. 평화. 친선’이라는 대외정책의 기본이념을 신설함으로써 맑스-레닌주의에 입각한 혁명과 해방의 투쟁노선을 완화시킨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외교노선에 있어서도 맑스-레닌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보다 우리식 사회주의와 ‘자주성에 기초한 국제적 연대성을 강화’를 강조하고 있따 그렇지만 아직 북한이 외교goal(목표) 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북한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plan에 대상으로하여 쓴 글입니다.
그리고 북한은 이와 같은 외교goal(목표) 를 달성하기 위한 strategy노선으로서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역량 강화, 남조선 혁명역량 강화, 국제혁명역량과의 단결, 강화 등 ‘3대혁명역량 강화노선’을 채택하였다.
(2) 대외정…(drop)
북한과 한반도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북한과 한반도.hwp( 11 )
설명
다.
그러나 탈냉전 시대의 도래 등 대내외적 環境(환경)변화와 이로 인한 3대혁명역량의 전반적 약화는 북한의 외교goal(목표) 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순서
북한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한편 김일성은 최고인민회의 제8기 1차 회의 시정연설을 통하여 “조선혁명은 세계혁명의 한 부분이며, 사회주의의 완전승리와 조국통일의 역사(歷史)적 위업을 앞당겨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제혁명역량과의 연대성을 강화하고 우리 혁명에 유리한 국제環境(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대외정책의 주요과업임을 주장하였다. 북한은 ‘맑스-레닌주의’(제7차 개정헌법 제4조)를 제8차 개정헌법(’98. 9. 5)에서 삭제함으로써 맑스-레닌주의가 북한의 활동지침이 아님을 시사하는 동시에 제7차 개정헌법 제5조에 규정되어 있던 ‘전국적 범위에서 외세를 물리치고’라는 국가의 투쟁goal(목표) 를 제8차 개정헌법 제9조에서는 삭제하였다.북한과한반도정치[1] , 북한과 한반도법학행정레포트 ,
북한과한반도정치[1]
1. 북한의 대외정책
(1) 대외정책의 goal(목표)
한 나라의 대외정책의 goal(목표) 는 국가goal(목표) 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바, 과거 냉전기 북한의 외교 goal(목표) 는 당규약과 구 사회주의 헌법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요점될 수 있따 첫째, 최소goal(목표) 로서 현존 북한체제의 유지 및 발전이며 둘째, 최대goal(목표) 로서 한반도 공산화 통일과 전 세계 공산화 달성이다. 이와 같이 냉전시기의 북한은 ‘혁명’과 ‘해방’을 완수하는데 대외정책의 goal(목표) 를 두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