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link.co.kr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長點과 문제 > coinlink2 | coinlink.co.kr report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長點과 문제 > coinlink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link2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長點과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1:54

본문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그런데 이 조건은 Chomsky가 Ross 의 복합명사구제약과 주어절제약 그리고 등위구조제약의 세 가지를 모두 이 하위인접조건으로 대치하여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다고 제안해 낸 조건으로, 그 定義(정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복합명사구제약의 대치
2) 등위구조제약의 대치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46 )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長點과 문제



Ⅰ 서론
No constituent can move across more than one bounding node in any single rule application. ( bounding nodes= S, or NP, and perhaps also S). = No constituent can be moved out of more than one containing NP or S-node (in any single rule application)

2. 하위인접조건의 일반성과 자연성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하위인접조건 복합명사구제약 문장주어제약 등위구조제약 / (영어문장구조론)
5) 문장주어제약의 대치



하위인접조건 복합명사구제약 문장주어제약 등위구조제약 / (영어문장구조론)

4) 좌분지제약의 대치




하위인접조건(Subjacency Condition)은 Chomsky(1973)에 의하여 제안된 理論으로서, Move-α의 적용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인데, 원래 Ross(1967)의 섬제약에서 발전한 것이다.
-> 어떤 成分도 한번의 이동에서 두 개 이상의 경계교점을 넘어 이동될 수 없다. 다시 말해 Move-α는 두 개의 명사구경계나 절경계를 넘어 갈 수 없는 원칙을 의미한다.


순서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설명

Ⅲ 結論(결론)
Ⅱ 본론
3. 하위인접조건의 drawback(걸점)
2) Wh-섬제약의 대치
1. 하위인접조건의 예시
하위인접조건 복합명사구제약 문장주어제약 등위구조제약
다. 하위인접조건 문장의 어떤 요소가 두 개 이상의 제한경계점을 넘어갈 수 없다는 제한조건이다.
전체 31,28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lin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