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의권리능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3:25
본문
Download : 태아의권리능력.hwp
한편 법정대리인인 모와 태아의 이해충돌시에는 태아를 위한 재산관리인을 선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입법론상 필요하다.
레포트/기타
태아의권리능력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Ⅳ. 인공수정자
1. 인공수정 중 부가 아닌 제3자의 정자에 의하는 경우(AID)에는 태아의 상속능력이 문제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부의 동의하에 인공수정된 경우라면 부의 자로 추정받는 혼인 중의 출생자로 보고 있으므 로 상속능력이 있다고 보여진다.
3. 검토
해제조건설에 의하면 태아가 출생하기 전에 법정대리인에 의하여 신속히 권리보전수단을 취할 수 있 기 때문에 태아보호에 충실한 반면, 사산 등의 경우에 거래안전을 해하게 된다
반면 정지조건설에 의하면 거래안전은 보호하지만 태아보호에 미흡하게 된다
이처럼 양설이 정반대 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취사에 어려움이 있지만, 민법이 태아에게 예외적인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것 이 그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 취지를 살려야 할 것이므로 conclusion
적으로는 해제조건설이 타당하다 고 생각된다
이처럼 해제조건설을 취한다면 현행법상 미성년의 자를 위한 친권제도를 유추적용하여 모를 태아의 법정대리인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법정대리인의 권한은 현재의 권리관계를 보전하는 범위내에 한정되 어야 한다.
Download : 태아의권리능력.hwp( 79 )
태아의권리능력
태아의권리능력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태아의권리능력 , 태아의권리능력기타레포트 ,
태아의권리능력




,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