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20:52본문
Download :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pptx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中
7
_SLIDE_8_
8
_SLIDE_9_
9
_SLIDE_10_
한국사회는 학벌에 기반을 둔 폐쇄주의적 공동체가 지식을 독점하고 있따 그리고 그렇게 지식을 독점해 발언권을 확보한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中
5
_SLIDE_6_
無에서 有를 창조할 수 있을까
6
_SLIDE_7_
예는 더욱 화려한 분묘 치장 文化(문화)로 발전했고 급기야 풍수지리설까지 끌어들이고 만다. 이는 모든 정답은 과거에 있다는 답답한 문제해석 의식이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中
10
_SLIDE_11_
11
_SLIDE_12_
12
_SLIDE_13_
13
_SLIDE_14_
책
김경일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바다출판사, 1999
최병철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시아출판, 1999
사진
전화기http://blog.naver.com/y87sq479s/30071682650
해태 버스http://sbsespn.sbs.co.kr/news/news_content.jsparticle_id=S10002147540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공자,살아야,나라,산다,인문사회,레포트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설명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인문사회레포트 , 공자 살아야 나라 산다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다. 이것은 과거 관직을 독점했던 양반사회의 전통과 맥을 같이한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中
2
_SLIDE_3_
3
_SLIDE_4_
선진 문헌에서의 作의 의미
공자의 述而不作에서의 作
4
_SLIDE_5_
溫故而知新은 우리 사회 전반에 드리운 과거지향의 옛날 만세 정서다. 베껴 쓰기 文化(문화)는 공자의 述而不作, 베낄 뿐 창작하지 않는다는 선언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유교의 쓰기는 창의적인 쓰기가 아니라 경전의 테두리 안에서의 베껴 쓰기를 숭상했다는 점에서 후대에 큰 악effect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