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해방 / 해방 직후의 조선 1.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歷史행로 2. 미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7:26본문
Download : 해방, 해방 직후의 조선1.hwp
순서





인문사회 해방 / 해방 직후의 조선 1.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역사행로 2. 미국
설명
해방 직후의 조선 .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역사행로 . 미국의 세계전략(strategy) 전환 (1947.7월) . 미국의 남한 점령정책 . 친일파의 등용 및 미 군정 실시 . 結論 .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역사행로 (1)미국과 소련이라는 외세의 개입이 없이 조선자체의 순수한 내적인 역동력에 의해서 조선사회가 스스로의 길을 걸어갔더라면, 조선전체가 사회주의 혁명으로 귀착될 수밖에 없었음 (2) 중요산업의 93% 이상, 농지의 18% 정도가 일본인 소유였기 때문에 해방이 되자마자 조선사회 전체의 중요한 생산수단은 거의가 사적 소유보다는 국가나 사회 전체가 소유할 수밖에 없는 사회주의 이행에 적합한 물적 조건 조성 (3) 농지를 제외한 생산 수단의 소유가 일본인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 자본가가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해방이 되자 일본 자본가가 철수함으로써 자본가 없는 노동자 계급형성이라는 계급구조와 계급형성상의 불균형 초래 (4) 토착 지배계급인 조선인 지주와 자본가의 대부분은 식민지 통치기간 친일 부역행위를 했기에 해방 후 지배계급의 헤게모니를 획득할 수 없었음 (5) 조선인 지배계급은 어디까지나 경제적 지배계급이었지 정치적 지배계급이 아니었기에 해방된 후 국가 폭압기구인 군대와 경찰 등을 통제할 수 있는 역량이 전혀 없었음 (6) 사회주의, 공산주의, 무政府주의를 지향하는 급진민족주의자들이 민족해방투쟁에서 민족 개량주의자나 비타협 우익 민족주의자들을 압도하여 민족해방운동 주체라는 정통성을 확보했고, 이러한 정통성을 기반으로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 등이 이끈 조선인민공화국이 조선민중의 정통성을 획득하면서 국가기구로서 급팽창하게 됨 (7) 반면 우익은 민족개량주의나 공공연한 민족반역행위를 주도적으로 행사하여 인민으로부터 배척당함 (9) 적색농민운동이나 적색노동운동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제시대에 활발했던 민족해방운동, ...
Download : 해방, 해방 직후의 조선1.hwp( 86 )
해방 직후의 조선 1.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歷史행로 2. 미국의 ...
해방 직후의 조선 1.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역사행로 2. 미국의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해방 / 해방 직후의 조선 1. 해방 직후 조선의 내재적 歷史행로 2. 미국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