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적 영문학사 쓰기의 지평: 영미문학의 길잡이 씨리즈와 한국의 영문학사 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1:18본문
Download : 주체적 영문학사 쓰.doc
2. 『길잡이』의 체제와 형식의 문제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 (주체적 영문학사 쓰기의 지평)
1. 『길잡이』 발간의 의의와 ‘주체적’ 영미문학사 쓰기의 어려움
설명
4. 『길잡이』 작가론 쓰기의 미덕과 problem(문제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음의 紹介(소개) 기사가 『길잡이』 출간 의의를 요령 있게 요약한다.“학생들에게 자신 있게 권할 만한 영문학 개설서 必要性을 절감하던 영문학자들이, `무모해 보이던 공동집필을 통해 최초로 한국인이 쓴 영문학 입문서를 만들어낸 것이다.
3. 『길잡이』 시대구분론의 문제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 (주체적 영문학사 쓰기의 지평)
Download : 주체적 영문학사 쓰.doc( 68 )
순서
주체적 영문학사 쓰기의 지평: 영미문학의 길잡이 씨리즈와 한국의 영문학사 쓰기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주체적영문학사쓰기의지평
다.“ 이 기사가 솜씨 있게 징리하듯이 『길잡이』의 발간 의의를 대략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따 첫째, 한국에서의 영문학 수용이후 ”최초로 한국인이 쓴 영문학 입문서“라는 점.. 둘째, 그 작업이 한 연구자의 성취가 아니라 ”무모해 보이는 공동집필“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서술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특히 ”식민지 경험을 갖고 있는 민족“인 한국 영문학자의 시각에서 ”어떻게 영미문학을 수용해야 하는가라는 고민“을 담은 ‘주체적’ 연구라는 점. 『길잡이』의 「책을 펴내면서」에서도 간략히 출간까지의 힘겨운 작업 경과를 설명했듯이 학문적 공동작업의 결과물인 『길잡이』가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분명 반갑다. ... 이렇게 나온 책은, 아체베나 샐먼 루시디에 이르는 각국의 현대작가가 포함되고, 17세기 왕정복고 시대의 작가 존 드라이든을 일관되게 식민주의자로 기술하는 등 `식민지 경험을 갖고 있는 민족이 어떻게 영미문학을 수용해야 하는가라는 영문학자들의 고민을 담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