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중세국어’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21:25본문
Download : ‘후기 중세국어’ 연구.hwp
이 책은 왜학서의 하나로 일본 문자를 정음 문자로 표음한 것으로 일본어의 음운사 연구에 소중한 data(자료)가 됨
5) 연산군…(생략(省略))
‘후기 중세국어’ 연구
‘후기 중세국어’ 연구 에 대한 글입니다.
‘후기 중세국어’ 연구 에 대한 글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후기중세국어연구
제일절 data(자료)
제이절 훈민정음 체계
제삼절 십오세기 정서법의
원리
제사절 한자어 표기법
제오절 음운
제육절 문법
제칠절 어휘
4) 성종대에 간행된 문헌 (1469 - 1494)
①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1472):성종 3년에 간행되었으나 표기법이 보수적
② 금강경삼가해,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언해(1482)
③ 불정심경언해, 영험약초 (1485) - 성종 16년에 간행된 것으로 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를 보여주는 최후의 불경언해
④ 내훈(1475) : 성종 6년에 인수대비가 부녀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것
⑤ 삼강행실도언해(1481) ᄫ,ᅙ 등이 나타남
⑥ 두시언해(1481) - 성종 12년에 완성된 것으로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를 언해한 것으로 언해 문학의 백미일 뿐 아니라 국어에 중요한 data(자료)임
⑦ 구급간이방(1489): 구급방언해의 뒤를 이은 의약서
⑧ 이로파(1492 성종 23년) - 15세기의 사역원에서 간행된 역학서 중 유일 한 현존본으로 매우 진귀하다.후기중세국어연구 , ‘후기 중세국어’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후기 중세국어’ 연구.hwp( 77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