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회로 소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6:25본문
Download : 수동 회로 소자.hwp
수동 회로 소자에 대한 자료입니다.
2. 실험 원리
(1) 저항(Resister)
저항(resistance)이란 물질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도통(conduct)의 반대 관념이다. 그런데 물질내부에는 그물질을 구성하는 원자가 있으므로 결국 이 자유전자들은 이 원자들 틈새를 이동해야 하므로 이동하는데 방해를 받아 열이 발생한다. 균일한 단면적 S(m2)와 길이 L(m)인 저항체의 저항 값 R은
R = (Ω)
으로 주어진다.
수동회로소자
수동 회로 소자
다. 수동회로소자 , 수동 회로 소자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Download : 수동 회로 소자.hwp( 81 )



,공학기술,레포트
1. 실험 목적
① 저항, 캐패시터의 물리적 의미를 이해한다.
② 저항, 캐패시터의 용량 표시 방법을 익힌다. 여기서 ρ(Ω·m)는 물질의 고유 저항률이다. 이러한 characteristic(특성)을 가진 소자를 저항(Resister)라 하고, 단위는 오옴(Ohm. Ω)을 사용한다. 저항 값이 크다함은 자유전자(free electron)의 이동이 어렵다는 것이다.
저항은 그 저항 값이 고정된 고정 저항과 저항 값을 가변 시킬 수 있는 가변 저항으로 나눌수 있따 고정 저항은 탄소주형, 탄소피막형, 권선형의 세 종류이며, 가변 저항은 탄소 피막형, 권선형의 두 종류가 있따 또한 견딜 수 있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색띠로 저항 값을 표기하는 비교적 적은 용량의 저항 (1/16W~2W), 직접 저항 값을 저항체에 표기하는 큰 용량의 저항체가 있따 저항을 색띠로 표기하는 경우는 대표적으로 4개의 띠가 있따
황색자색적색금색ABCD
색띠 저항체의 저항값 R은 R =AB×10C±D(Ω) 으로 구할 수 있따
(2) 커패시터(Capacitor)
두 개의 도체 평판 사이에 절연물을 채우고 평판 사이에 저압을 인가하면 이 평판에는 전하가 모이는데, …(생략(省略))
수동 회로 소자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 참고로 물질의 전기저항은 물질의 종류, 전선의 길이·단면적·온도 이렇게 4가지요소에 따라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