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9:43
본문
Download : 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hwp
국어에서 ‘불-뿔-풀’의 각 쌍이 변별되는 것은 자음의 삼중 체계에 의해 변별된다
이렇듯 국어의 파열음은 ‘ㄱ-ㄲ-ㅋ’의 삼중 체계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언어의 음운은 이와 다를 수 있다아 예를 들어 영어는 파열음이 유성음과 무성음의 이중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아 이러한 이유로 영어의 화자들은 ‘공’과 ‘콩’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 대표음으로 실현된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음운의 교체로 볼 수 있고, 대표음으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음운의 중화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아 이러한 현상은 국어의 음절…(생략(省略))
순서
Download : 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hwp( 78 )
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 , 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인문사회레포트 , 언어학개론 한국어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 대해 논하십시오
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
언어학개론,한국어,계통적,유형적,음운적,특징,대해,논하십시오,인문사회,레포트


다.
(예) 파열음(ㄱ,ㄷ,ㅂ)과 파찰음(ㅈ) : [ㄱ-ㄲ-ㅋ/ㅂ-ㅃ-ㅍ/ㅈ-ㅉ-ㅊ]의 삼중 체계
(2) 단모음 10개
다른 언어에 비해 단모음의 수가 10개나 될 정도로 많지만. 마찰음은 단 세 개(ㅅ,ㅆ,ㅎ)이다. 음운은 음성에 의해 실현되며,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되는 추상적, 관념적, 심리적인 말소리이다. ‘바보’를 발음할 때 첫 번째 ‘ㅂ’은 무성음, 두 번째 ‘ㅂ’은 유성음으로서 서로 다른 음성이지만 우리는 ‘ㅂ’이라는 같은 음운으로 인식하는 것이 그 예이다.
언어학개론-한국어의 계통적, 유형적, 음운적 특징에 대해 논하십시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징
음운이란 말의 뜻을 변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를 말한다.
한국어만이 가지는 음운상의 특질
(1) 삼중 체계
국어의 파열음 계열은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센소리(격음)의 삼중 체계(삼지적 상관속)를 이룬다.
(3) 두음 법칙, 음절 끝소리 규칙, 모음 조화 현상, 동화 작용 등이 있다아
- 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운의 교체)
자음이 음절 끝에 올 때 터지지 아니하고 닫힌 상태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음운은 의미를 분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음운은 언어마다 다를 수 있으며, 한 언어 내에서의 음운은 그 수효가 한정되어 있다아 사람들이 대화를 할 때 다른 소리(음성)일지라도 공통되는 부분에 주목하여 같은 소리(음운)로 인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