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report)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5:27본문
Download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hwp
신격의 기능2)이라는 차원에서 신화를 살필 때 시조신화는 대개 자연신이나 동물신이 원인(原因)자 기능을 수행하여 그 원인(原因)자로부터 시조나 씨족이 출현하는 ‘원인(原因)자→출현자’의 2기능체계로, 건국신화는 각 씨족의 최고신인 파견자의 건국에 대한 뜻이 드러나거나 드러나지 않는 중에 설정되고 그 뜻이 중개자 기능을 수행하는 시조신의 혈통적인 혹은 추대자적인 매개를 통하여 건국의 실현자 기능을 수행하는 건국주가 출현하여 건국을 이루는 ‘파견자→중개자→실현자’의 3기능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시조신화와 건국신화는 신격의 구체적 성격이나 행위, 결연의 방식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기능의 수행이라는 차원에서는 일치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대하·남조·대리 건국신화.1. 대하국의 경우.1.1. 대하건국신화의 형성 대하는 서기 1038년에 건국되어 1227년 몽골에 망할 때까지 china(중국) 의 서북지...
Download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hwp( 65 )
레포트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
레포트 > 기타
순서
[레포트(report)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 /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 -대하·남조·대리 건국...
설명
다. 우선 가 확보된 대로 大夏·南詔·大理4)의 건국신화를 紹介하고 이를 검토하기로 한다.3) 본고는 의 확충을 통하여 기존의 논의를 검증하고 理論(이론)적으로 확장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다.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 -대하·남조·대리 건국...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아시아 건국신화의 한 양상 -대하·남조·대리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 조 현 설 차 례 1. 머리말. 신격기능체계론에서 본 대하·남조·대리 건국신화 . 세 나라 건국신화의 검토를 통한 신격기능체계론의 확장. 맺음말 . 머리말 필자는 이전 논고에서 티벳·몽골·만주·한국 신화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건국신화의 형성과정을 밝히고 신격기능체계론이라는 건국신화의 형성과 재편에 관한 理論(이론)을 모색한 바 있다. 그 요목을 정리(整理) 하면 다음과 같다. 그런데 건국신화는 2기능체계를 지닌 시조신화가 기능의 전환(원인(原因)자·출현자→증개자)과 새로운 기능(파견자)의 개입에 의해 3기능체계로 발전하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그 ‘발전’에는 고대국가의 형성과 국가권력의 출현이라는 歷史적 경과가 작용했다고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