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케로의 ‘의무론’을 읽은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20:59
본문
Download :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고.hwp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고 ,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은후
Download :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고.hwp( 77 )
Ⅰ. 키케로의 의무론
Ⅱ. 도덕적 선에 관하여
Ⅲ. 유익함에 대하여
Ⅳ. 도덕적 선과 유익함의 상충
Ⅴ. 의무론의 현대성
Polis가 붕괴해 갈 무렵 아테네에는 플라톤의 아카데미 학파, 아리스토텔레스의 소요학파, 에피쿠로스의 에피쿠로스학파, 그리고 제논의 스토아학파등 아테네의 4대 학파가 창설되었다.
첫째, 심사숙고된 행동이 실제로 도덕적으로 선하고 명예로운지 여부 둘째, 유익함(utility)의 정도(심사숙고된 행동이 생활의 편리함, 즐거움, 부와 권력을 가져다 주는지 아닌지) 셋째, 유익함과 도덕적 선의 상충여부가 그것이다.
Panaetius는 의무를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고 작성한 감상문입니다.
첫째, 올바른 의무(유익하고 가치있는 행위) 즉, 완전한 절대적 의무이며 이것은 선의 한계, 즉 최고선을 의미한다.
키케로는 의무야 말로 실생활에서 가장 관범위하게 논의되어 왔고 또 생활의 어느 한 부분도 의무를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의무를 두가지로 분류했다. 키케로는 이 둘중 완전한 절대적 의무가 그 나머지 것보다 더 우위라고 하였다. 이중 스토아학파의 사상적 모태인 키레네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는 쾌락을 최고선으로 고통을 최고악으로 보았고 나머지 세학파는 도덕적 선을 중시했다. 의무론의 도덕적 선과 유익함에 대해서, 그리고 의무론의 현대성에 대해 적었습니다. 이중 스토아 학파가 도덕적 선을 최고선으로 보았는데 키케로의 의무론은 이러한 스토아학파의 사상을 일명 스키피오서클에 전수한 Panaetius의 의무론에 influence을 받아 쓰여졌다.
둘째, 합당한 의무 즉, 평범한 의무인 이것은 일상행활 전 영역에 걸쳐서 적용될수 있는 것으로서 그 자체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기 때문에 그 결과를 놓고 따져봐야 하는 보통의 의무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도덕적으로 선한 것(honestum)에 대해 키케로는 네가지에서 연유한다고 하였다. 의무론의 도덕적 선과 유익함에 상대하여, 그리고 의무론의 현대성에 대해 적었습니다.
첫째, 지식탐구(scientia)로서 진리에 대한 통찰…(省略)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은후
다.키케로의 `의무론`을 읽은후 작성한 感想文(감상문) 입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주어진 본능과 질서가 무엇이고 예의범절과 언행에서 조심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성을 함께 소유한 인간으로서는 합리적 이성으로 그것이 어떻게 행해졌는가를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는 평범한 보통의 의무를 고찰할 수밖에 없다고 하며 이책에서는 주로 보통의 의무에 대해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