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link.co.kr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무 -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 명시 의무 > coinlink5 | coinlink.co.kr report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무 -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 명시 의무 > coinlink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link5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무 -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 명시 의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10:52

본문




Download :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따른근로조건명시의무.hwp







다.

3. 논의의 실익

최근 개정된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의 근로조건 명시의무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어, 사용자의 과도한 부담인지의 여부와 개정된 근기법의 내용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아
II. 개정 근기법의 내용
1. 서면명시의무의 강화
개정법에서는 근로조건 서면명시사항으로 임금 외에 근로기준…(drop)

(1) 서면명시사항

(2) 그 밖의 근로조건

4. 근로조건의 명시시기

5. 사용자의 과도한 부담인지 여부

6. 기대효율

(1) 근로조건명시가 없는 경우

(2) 근로조건의 명시가 있는 경우

①손해배상청구권

②계약의 즉시해제권

③귀향여비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 무
설명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2. 종전 근기법의 결점

종전 근기법의 규정은 임금에 대상으로하여만 서면명시를 규정하고 있어, 임금 외의 근로조건에 관하여 다툼이 있을 경우 근로자가 입증하기가 곤란하였다.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무 -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 명시 의무
순서



07년%20개정근로기준법에따른근로조건명시의무_hwp_01.gif 07년%20개정근로기준법에따른근로조건명시의무_hwp_02.gif 07년%20개정근로기준법에따른근로조건명시의무_hwp_03.gif





Download :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따른근로조건명시의무.hwp( 39 )


개정근로기준법,따른,근로조건명시,무,법학행정,레포트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 무 , 07년 개정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명시의무 -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 명시 의무법학행정레포트 , 개정근로기준법 따른 근로조건명시 무



레포트/법학행정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 명시 의무
I. 서

1. 의의 및 취지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계약에 포함되어 반드시 명시되어야 하는 근로조건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우월한 지위를 남용하여 근로조건의 불확정 상태에서 근로자의 근로를 수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체 31,33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lin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