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바이오 R&D에 힘실린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3:55본문
Download : 090324102803_.jpg
지난해 우리나라는 전체 바이오 R&D 예산 1조6569억원 중 약 500억원을 해양바이오 연구에 투자해 투자비중이 3%에 불과했다. 이 과장은 “상반기 안에 장기 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세부적인 투자목표와 방향에 대해서는 이제부터 논의를 해야한다”고 說明(설명) 했다.
레포트 > 기타
해양바이오 R&D에 힘실린다
해양바이오 R&D에 힘실린다
23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政府(정부)는 단계적으로 해양바이오 R&D 투자를 늘려 오는 2012년에는 전체 바이오 R&D 투자 2조4259억원 중 10%에 해당하는 2426억원을 해양바이오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政府(정부)는 이같은 내용의 범政府(정부)적 ‘해양바이오 R&D 활성화 대책(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주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의 4개 부처가 참여하는 ‘해양바이오 R&D 기획위원회’를 구성했다.
순서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
政府(정부)는 종합대책에 해양생명자원의 지속적 발굴·개발·고부가가치화를 이끌 4대 중점추진분야로 △해양생물기반 분야 △해양생물생산 분야 △해양신소재 분야 △해양생태環境보전 분야를 포함시키고, 각 분야별 중점육성기술에 대한 집중투자방안(方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교과부 이성봉 거대과학협력과장은 “전체 바이오 분야 투자 중 해양바이오 분야가 상대적으로 투자가 적었다”면서 “해양바이오 R&D를 활성화 시키자는 것이 취지”라고 말했다.
Download : 090324102803_.jpg( 75 )





다.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도 55% 수준에 머물고 있따 과학기술계는 그간 해양바이오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견인할 신성장동력 분야임에도 범政府(정부) 차원의 종합대책이 없었고, 관련 R&D 투자도 부진해 해양바이오 관련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제기해왔다. 政府(정부)는 이계획을 통해 2008년 전체 바이오 R&D 예산의 3% 수준이던 해양 바이오 분야 투자를 2012년에는 10%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2월 열린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관련분야 투자를 확대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기획위원회는 5월말까지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상반기 중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해 심의·의결할 계획이다.
한편 미국은 ‘the twenty-first century 해양 청사진 계획’, 일본은 ‘바이오산업 창조 기본전략(strategy)’, EU는 ‘신 리스본 전략(strategy)’, 중국은 ‘제11차 5개년 해양 과학기술 발전계획 강요’ 등 해양바이오 산업 선점을 위해 세계 각국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따
해양바이오 R&D에 힘실린다
설명
해양바이오 R&D에 힘실린다
해양바이오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범부처 차원의 전략(strategy)적 연구개발(R&D) 계획이 수립, 추진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