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실태과 석유 부존 잠재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23:38본문
Download :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hwp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실태과 석유 부존 잠재력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 ,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자연과학레포트 ,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재상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
목차
북한의 석유개발
Ⅰ.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Ⅱ. 석유개발 현재상황
Ⅲ. 북한의 석유 부존 잠재력
reference
북한의 석유개발
1.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북한의 석유탐사에 대한 관심은 1950년대 말부터 스타트되었다.60년대 후반
에는 박천, 안주, 숙천 등지에서 석유탐사 작업을 벌여, 68년에 숙천에서
유징을 발견하...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재상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
목차
* 북한의 석유개발
Ⅰ.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Ⅱ. 석유개발 현재상황
Ⅲ. 북한의 석유 부존 잠재력
* reference
* 북한의 석유개발
1.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북한의 석유탐사에 대한 관심은 1950년대 말부터 스타트되었다. 북한은 1960년대까지 이 작업을
계속하면서,15공을 시추하였으나, 석유발견에는 실패하였다.
한편, 북한 동해에서는 소련의 지원으로 석유탐사가 스타트되었다. 북한은 중국(中國)이
발해만에서 석유를 발견한 사실에 影響을 받아, 72년부터 탐사를 스타트하
였다.60년대 후반
에는 박천, 안주, 숙천 등지에서 석유탐사 작업을 벌여, 68년에 숙천에서
유징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북한은 1960년대까지 이 작업을
계속하면서,15공을 시추하였으나, 석유발견에는 실패하였다. 당시 북한은 중국(中國)과 소련으로부터 해저 지질 탐사 기술과 航空(항공) 중?
자력 탐사 기술을 지원받았고, 소련으로부터 석유 시추기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70년대부터 해상지역에서 탐사활동을 스타트하였다. 북한은 소
련, 중국(中國) 및 동유럽 국가들로부터 지질조사를 위한 기술적 원조를 제공받거
나 탐사 장비를 도입하기도 하였다. 1986년부
터 1988년까지 소련의 `사할린 지구 물리원`이 탐사선 프…(투비컨티뉴드 )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실태과 석유 부존 잠재력
Download : 북한의 석유개발) 북한의 석유탐사 경과 및 석유개발 현황과 석유 부존 잠재력.hwp( 74 )
북한의,석유개발),북한의,석유탐사,경과,및,석유개발,현황과,석유,부존,잠재력,자연과학,레포트
순서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20%EB%B6%81%ED%95%9C%EC%9D%98%20%EC%84%9D%EC%9C%A0%ED%83%90%EC%82%AC%20%EA%B2%BD%EA%B3%BC%20%EB%B0%8F%20%EC%84%9D%EC%9C%A0%EA%B0%9C%EB%B0%9C%20%ED%98%84%ED%99%A9%EA%B3%BC%20%EC%84%9D%EC%9C%A0%20%EB%B6%80%EC%A1%B4%20%EC%9E%A0%EC%9E%AC%EB%A0%A5_hwp_01.gif)
%20%EB%B6%81%ED%95%9C%EC%9D%98%20%EC%84%9D%EC%9C%A0%ED%83%90%EC%82%AC%20%EA%B2%BD%EA%B3%BC%20%EB%B0%8F%20%EC%84%9D%EC%9C%A0%EA%B0%9C%EB%B0%9C%20%ED%98%84%ED%99%A9%EA%B3%BC%20%EC%84%9D%EC%9C%A0%20%EB%B6%80%EC%A1%B4%20%EC%9E%A0%EC%9E%AC%EB%A0%A5_hwp_02.gif)
%20%EB%B6%81%ED%95%9C%EC%9D%98%20%EC%84%9D%EC%9C%A0%ED%83%90%EC%82%AC%20%EA%B2%BD%EA%B3%BC%20%EB%B0%8F%20%EC%84%9D%EC%9C%A0%EA%B0%9C%EB%B0%9C%20%ED%98%84%ED%99%A9%EA%B3%BC%20%EC%84%9D%EC%9C%A0%20%EB%B6%80%EC%A1%B4%20%EC%9E%A0%EC%9E%AC%EB%A0%A5_hwp_03.gif)
%20%EB%B6%81%ED%95%9C%EC%9D%98%20%EC%84%9D%EC%9C%A0%ED%83%90%EC%82%AC%20%EA%B2%BD%EA%B3%BC%20%EB%B0%8F%20%EC%84%9D%EC%9C%A0%EA%B0%9C%EB%B0%9C%20%ED%98%84%ED%99%A9%EA%B3%BC%20%EC%84%9D%EC%9C%A0%20%EB%B6%80%EC%A1%B4%20%EC%9E%A0%EC%9E%AC%EB%A0%A5_hwp_04.gif)
%20%EB%B6%81%ED%95%9C%EC%9D%98%20%EC%84%9D%EC%9C%A0%ED%83%90%EC%82%AC%20%EA%B2%BD%EA%B3%BC%20%EB%B0%8F%20%EC%84%9D%EC%9C%A0%EA%B0%9C%EB%B0%9C%20%ED%98%84%ED%99%A9%EA%B3%BC%20%EC%84%9D%EC%9C%A0%20%EB%B6%80%EC%A1%B4%20%EC%9E%A0%EC%9E%AC%EB%A0%A5_hwp_05.gif)
%20%EB%B6%81%ED%95%9C%EC%9D%98%20%EC%84%9D%EC%9C%A0%ED%83%90%EC%82%AC%20%EA%B2%BD%EA%B3%BC%20%EB%B0%8F%20%EC%84%9D%EC%9C%A0%EA%B0%9C%EB%B0%9C%20%ED%98%84%ED%99%A9%EA%B3%BC%20%EC%84%9D%EC%9C%A0%20%EB%B6%80%EC%A1%B4%20%EC%9E%A0%EC%9E%AC%EB%A0%A5_hwp_06.gif)
다. 아오지 이외에 길주, 명천 등지의 육상지역에서 석유 탐사의 기초
작업인 지질 조사와 시추작업을 하였다. 1957년에 북한은 함경북도 아오지에서
소련의 기술지원과 루마니아산 탐사장비를 도입하여 처음으로 석유 탐사에
나싫다. 아오지 이외에 길주, 명천 등지의 육상지역에서 석유 탐사의 기초
작업인 지질 조사와 시추작업을 하였다. 이후 88년까지 13공을 시추하여 85년 남포앞
해상 약 100km 지점에 시추한 #606공에서 일산 450배럴의 원유를 시험
산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유전은 충분한 경제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67년에는 소련과 공동으로 두만강 하류
지역의 지질 조사를 실시하기도 하였다. 북한은 소
련, 중국(中國) 및 동유럽 국가들로부터 지질조사를 위한 기술적 원조를 제공받거
나 탐사 장비를 도입하기도 하였다. 북한은 76년부터 최초의 해양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여 77년 처음
으로 탐사 시추를 실시하였다. 1957년에 북한은 함경북도 아오지에서
소련의 기술지원과 루마니아산 탐사장비를 도입하여 처음으로 석유 탐사에
나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