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China) 진나라의 문화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11:45본문
Download : 중국 진나라의 문화사.hwp
화폐도 각국의 포전이나 도전을 모두 폐지하고 원형방공(圓形方孔)의 반량전(半兩錢)으로 통일했다. 결국 시황제의 결단으로 군현제가 채택되었다. 그밖에 반란을 방지…(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중국(China)진나라의문화사
다.
Download : 중국 진나라의 문화사.hwp( 83 )
중국진나라의문화사 , 중국 진나라의 문화사인문사회레포트 ,
중국(China) 진나라의 문화사
순서
●서론
●본론
1. ‘진’ 이전의 역사(歷史)-주왕조
1)주민족의 발전
2)주왕조의 culture
3)봉건제도와 종법
4)춘추시대와 전국시대
2. 최초의 통일제국-진
1)통일과 진시황
가)통일에 대한 바람
나)진왕 정과 여불위
다)시황제의 탄생
2)시황제의 통일정책
가)군현제의 실시
나)분서갱유
다)장성구축
라)궁전과 분묘
마)시황제의 임종
3. 농민봉기와 진의 멸망
1)진승, 오광의 봉기
2)농민왕국의 좌절
3)진의 멸망
●결론
2)시황제의 통일정책
가)군현제의 실시
시황제에게 있어 가장 문제가 된 것은 신생 통일국가를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한편, 전국을 통치하는 중앙government 의 기구는 황제 아래 행정·사법·감찰의 최고책임자로 승상(丞相)·태위(太尉)·어사대부(御史大夫), 이른바 삼공(三公)을 두었다. 즉 전국을 36군(郡)으로 나누고 군 아래는 현(縣)을 두며, 그 장관인 군수(郡守)나 현령(縣令)은 중앙에서 파견하여 통치시켰다. 먼저 각국에서 각기 사용하고 있던 도량형을 통일하여 국定義(정이) 승(枡)이나 분동(分銅)등을 각지에 반포했다. 그들은 국가로부터 봉록을 지급 받는 관리로서 세습이 허락되지 않았다. 또 그들의 임면권은 황제가 장악하여 항상 감시의 눈을 번뜩여 세력을 부식해 할거할 여지를 없앴다. 문자는 이사가 고안했다는 소전(小篆)으로 통일했다. 이에 대해 정위(廷尉:사법장관)인 이사는, 주는 종실과 소원하게 된 제후의 싸움으로 멸망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군현제(郡縣制)를 실시해야 한다고 반론했다. 이러한 문자의 통일은 중앙집권적인 관료정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빠뜨릴 수 없는 것이었다. 하나는 승상 왕관의 의견으로 연, 제, 초 등 원격지에는 황자(皇子)를 봉해서 안정을 꾀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군현제의 실시와 병행하여 각종의 통일이 이루어졌다. 승상 하에 정무분담기관으로 봉상(儀禮祭祝을 담당), 낭중령(황제의 신변경호), 위위(궁문의 경비), 태복(마차의 관리), 정위(사법), 전객(외교), 종정(종실관계), 치속내사(국가재정), 소부(황실재정) 등 이른바 구경(九卿)을 두었다. 회의에서 중신들의 논의는 둘로 갈렸다. 이리하여 최종적으로는 모든 정치권력은 황제 하에 집중하여 황제의 명령은 그대로 지방의 말단에까지 미치는 전제주의적 중앙집권체제가 비로소 확립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