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link.co.kr 고학력실업 > coinlink6 | coinlink.co.kr report

고학력실업 > coinlink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link6

고학력실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20:57

본문




Download : 고학력실업.hwp




고학력자의 증가로 인하여 노동시장에서는 고학력자 임금수준의 상대적 하락, 하향취업 등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고학력자의 비중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매년 수십만명의 대학졸업자들이 배출되지만 기업에서 찾는 인력을 얼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학력은 점점 높아지지만 그만큼 실업도 높다는걸 알 수 있다아 이젠 대학만 나와도 취업이 보장된다는 말은 더 이상 믿을 수 없게끔 되버렸다. 그런데 금융위기를 벗어난 이후에 초졸과 중졸의 노동자들은 실업률이 대폭 낮아진 반면 고졸과 특히 대졸이상은 실업률이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다아 지금 우리 대학을 보더라도 50%가 취업했다고 하면 무지 잘했다고 할정도이다.
레포트/경영경제



1. 서론
2. ⑴ 학력별의 취업 및 실업 동향
⑵ 고학력의 실업 原因
⑶ 고학력 실업의 문제점(問題點)
⑷ 고학력의 실업률 국제 비교
3. 고용 전망
4. 고용 대책
5. 결론



2. 학력별의 취업 및 실업 동향

⑴ 학력별의 취업
80년 초반의 교육개혁 이후 대학의 입학정원이 늘어남에 따라 전 국민의 교육수준은 급속도로 높아졌다.
연도
합계
초졸
중졸
고졸
대졸이상
1995
2.1
0.8
1.6
2.5
2.8
1996
2.0
0.7
1.6
2.5
2.6
1997
2.6
1.0
2.2
3.3
3.0
1998
7.0
4.2
7.9
8.3
5.9
1999
6.3
3.8
6.9
7.6
5.4
2000
4.1
2.4
4.4
4.8
4
2001
3.8
2.1
3.8
4.3
3.8 …(drop)
고학력실업[1][1]

고학력실업
,경영경제,레포트
고학력실업_hwp_01.gif 고학력실업_hwp_02.gif 고학력실업_hwp_03.gif 고학력실업_hwp_04.gif




고학력실업[1][1] , 고학력실업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고학력실업.hwp( 29 )


설명


순서

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졸업이거나 대학졸업이거나 모두가 실업률이 증가하였다. 88년에 전체취업자중에서 중졸이하의 학력은 52.4%였으나 ’97년에는 36.8%로 줄어들었고, 반면 대졸자는 ’88년에 12.2%에서 97년 20.3%로 증가하였고, 향후에도 고학력화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⑴ 학력별의 실업동향
아래 2.6

그림과 같이 고학력의 실업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실업률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아특히 1997년 말에 금융위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그만두게 되었고 취업 또한 힘들었다.
전체 31,43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lin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