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3:34본문
Download : 초등학교통합학급교사의정신지체인에대한인.hwp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들은 정도와 세부적인 반응에 있어서는 다양성을 지니지만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가 전 文化권 안에서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데에 意見을 일치하고 있다. 2. Q-표본(Q-sampl)
정신지체인 정신지체학생 통합학급 / 강병호·배정아·송정미(2002).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협력교수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강영심·정정련(2002).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정서·학습장애연구. Vol. 17, No. 3, pp. 107-130. 교육인적자원부(2003). 2003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국립특수교육원(2002). 2002 한국의 특수지표. http://www.kise.go.kr. 국립특수교육원(2003). 제2차 장애인 복지 발전 5개년 계획(안)-특수교육발전종합계획(‘03-’07). 김성애·정대영·박희찬(1997).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김흥규(1994). Q 방법론의 과학정신 탐구. 언론학보. 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3, 5-44. 안성우·박재국·백유순(1999).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영향 요인 연구. 한국초등특수교육연구 창간호, pp. 187-204. 이규태(1981). 장애자 복지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구조. 현대사회와 장애자복지, pp. 54-62.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이소현·황복선(2000).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모형: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 7집, 국
김성애·정대영·박희찬(1997).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국립특수교육원.
Ⅴ. 논 의
Ⅵ. 結論 및 제언
이소현·황복선(2000).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모형: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 7집, 국
3. 통합학급 교사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유형별 특성(特性) 비교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4. Q-표본 분류(Q-sorting)
1. 연구설계
국립특수교육원(2003). 제2차 장애인 복지 발전 5개년 계획(안)-특수교육발전종합계획(‘03-’07).
Ⅲ. 연 구 방 법
국립특수교육원(2002). 2002 한국의 특수지표. http://www.kise.go.kr.
3. P-표본의 표집방법(P-sampling method)
정신지체인 정신지체학생 통합학급 / 강병호·배정아·송정미(2002).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협력교수 program. 국립특수교육원.
김흥규(1994). Q 방법론의 과학정신 탐구. 언론학보. 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3, 5-44.
2. 통합학급 교사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特性) analysis
이규태(1981). 장애자 복지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구조. 현대사회와 장애자복지, pp. 54-62.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통합교육은 이제 일반교육의 참여와 협력이 없으면 그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 강조되면서, 통합교육에서의 통합학급 교사들의 역할과 협력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Speck, 1996; 김성애/정대영/박희찬, 1997; 이소현/황복선, 2000; 강영심/정정련, 2002; 강병호/배정아/송정미, 2002), 그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도 구체화되고 있다(국립특수교육원, 2003).
2. 연구의 목적
설명
통합학급을 담당한 교사들에게 선택가산점을 산정할 수 있도록 공무원승진규정(2001년 7월 7일 개정, 2002년 1월 1일 시행)을 개정/시행하고 통합학급 교사들의 특수교육 직무연수를 시/도 및 시/군/구교육청별로 이수토록 하고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3).
Ⅳ. 연 구 결 과
6. 연구의 제한성
3. 용어definition
정신지체인 정신지체학생 통합학급
순서
Download : 초등학교통합학급교사의정신지체인에대한인.hwp( 64 )
1. 통합학급 교사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인식 유형
강영심·정정련(2002).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정서·학습장애연구. Vol. 17, No. 3, pp. 107-130.





Ⅰ. 서 론
교육인적자원부(2003). 2003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1. 연구의 필요성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안성우·박재국·백유순(1999).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influence(영향) 요인 연구. 한국초등특수교육연구 창간호, pp. 187-204.
5. 처리 및 analysis방법
Ⅱ. 문 헌 고 찰
이러한 특수교육 직무연수 등 행/재정적 지원이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통합교육의 내실화로 이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통합학급 교사들이 특수아동에 대해 어떤 주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주목해야 하고, 그들의 인식수준과 유형을 고려한 연수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Cloerkes, 1987; Neubert & Cloerkes, 1987; Speck, 1996) 장애인들 중에서도 특히 정신지체인에 대해 사회가 가장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고(Bächtold, 1984; Neubert & Cloerkes, 1987), 교육현장에서 쉽게 만나게 되는 장애영역이 정신지체이기 때문에, 통합교사들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인식유형과 특성(特性)을 밝히는 작업은 통합교사를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교육내용을 준비하거나 그들과 협력교수를 할 때 중요한 기초 로 활용되어 통합교육의 효율를 높여줄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체계적으로 analysis하기 위해 본 논문은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김흥규, 1994).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