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8:27본문
Download : 한국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hwp
그리고 당시의 석학 최남선이 교열을 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얼마나 그의 수고가 들어갔는지는 알 수 없다. 순 한문으로 저술된 『조선불교통사』 2권은 상, 중, 하 3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마다 `이능화 상현거사 집술, 최남선 육당학인 교열`이라고 밝히고 있따 `거사`라는 말은 이능화가 스스로 불자임을 의식하고 밝히는 말이며 `집술`이라는 것은 이 책이 자료(data)를 수집하고 요점하는 성격의 책임을 밝히는 말이다.
상권은 `불화시처,` 곧 한국 땅에서 부처님의 교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고구려, 백제, 신라시대, 그리고 고려와 조선시대 별로 왕의 재위 년도에 따라 편년사적으로 서술하고 있따 중요한 불교사적 사건을 강(강)으로 하여 서술하면서 비고(비고)와 참고(참고)를 목(목)으로 하여 보충하는 식으로 편집하였다.
설명
순서
한국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능화의 불교연구가 그의 신앙과 민족의식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겠지만, 그렇다고 그의 불교연구가 호교론적이거나 신채호나 박은식 등의 history(역사) 연구처럼 노골적인 민족주의적 편향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닌것이다 . 그의 『백교회통』은 불교를 중심으로 하여 종교의 교설들을 비교하고 회통하는 저술이지만 결코 불교의 우월성을 입증하려는 호교론은 아니며, 그의 주저이자 한국불교 연구의 초석과도 같은 『조선불교통사』역시 사료의 수집과 비교, 고증 등에 기초한 history(역사) 적 연구이다. 비고에서는 인용의 출처를 밝히고 있으며 참고에서는 보충될만한 사항들을 첨가하여 강(강)의 서술을 뒷받침하고 있따
중권은 `삼보원류`라고 하여 불교종파의 전개를 다루고 있는데, 석가모니의 전기로부터 처음 하여 인도와 China의 불교사를 약술한 다음 각 구사종(구사종), 성실종(성실종)을 비롯하여 선종(선종)에 이르기까지 종파들의 연원을 밝히고 있따 그 가운데서도 선종, 선종 가운데서도 특히 임제종(임제종)의 전통을 가장 상세히 서술하고 있따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선종이 임제종의 적손(적손)임을 밝히는 뜻에서 태고보우로부터 처음 하여 서산휴정과 부휴선수에 이르는 법맥을 서술…(생략(省略))
Download : 한국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hwp( 44 )
능화의 불교연구가 그의 신앙과 민족의식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겠지만, 그렇다고 그의 불교연구가 호교론적이거나 신채호나 박은...
,인문사회,레포트
능화의 불교연구가 그의 신앙과 민족의식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겠지만, 그렇다고 그의 불교연구가 호교론적이거나 신채호나 박은... , 한국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